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3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의 실험 노트 온라인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글귀가 나온다. 뉴턴은 안구를 찌그러트리는 실험을 하면서 다른 위치를 누를 때마다
빛
이 다양한 색깔로 보인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이러한 뉴턴의 연구 자료를 집에서도 볼 수 있게 됐다. 영국 BBC와 더선은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이 아이작 뉴턴이 케임브리지대 학부생일 때 썼던 공책을 ... ...
"안드로메다 은하 둘러싼 가스 우리 은하와 이미 충돌 중"
연합뉴스
l
2020.09.01
광년 떨어져 있지만 별처럼 밝게
빛
나는 활동성 은하의 핵으로, 이곳에서 나온 자외선
빛
이 헤일로를 통과할 때 흡수되는 것을 분석해 헤일로의 물질을 파악하고 지도를 만들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퀘이사는 총 43개로 다른 은하의 헤일로를 분석할 때 활용된 1~2개보다 훨씬 더 자세한 결과를 ... ...
ETRI, 30도 시야각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학회 최고상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용해 공간에 영상을 맺히게 한다. 공간광변조기(SLM) 패널에 홀로그램 데이터를 입력해
빛
을 제어하면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 수 있다. SLM의 픽셀 피치가 작을수록 홀로그램을 볼 수 있는 시야각이 넓어진다. 기존 3㎛ 픽셀은 10도 이내 시야각이 나오는데 연구팀은 이를 1㎛로 줄여 시야각을 30도로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를 통해 IGZO층의 전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굴절률이 감소하고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빛
의 공명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IGZO 기반 가변형 컬러필터 기술 모식도 및 마이크로 컬러픽셀 실험 결과. 포스텍 제공. 연구팀이 고안한 컬러필터 설계 방식을 활용하면 대면적 ... ...
서울대병원 암세포 잡는 최고 수준 중입자가속기 도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암 치료용 중입자 가속기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중입자 가속기는 탄소를
빛
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 빔을 암세포에 조사하는 치료기기다. 높은 종양 살상능력으로 기존에 치료할 수 없었던 난치성 암의 치료가 가능하다. 정상세포를 최대한 보호하는 동시에 암세포에만 대부분의 ... ...
125살 맞은 X선, 지금도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현상을 발견했다. 뢴트겐은 수학에서 모르는 수를 X라 표현하듯이 정체불명의 이
빛
에 X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X선 관련 논문을 발표했고, 1901년 이 논문으로 제1회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뢴트겐은 X선이 전 인류의 재산이라 생각해 특허 출원을 하지 않았다. X선은 ... ...
[주말N수학] 예술가가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20.08.29
관객의 동작을 인식해 그 움직임에 맞춰
빛
이 왜곡되도록 만들었다. 파장을 표현한
빛
이 자연스럽게 왜곡될 수 있도록 양 작가는 ‘펄린 노이즈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펄린 노이즈 알고리즘은 1980년대 켄 펄린 미국 뉴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형이나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넘치게 ... ...
코로나19 신규확진 323명 이틀째 300명대…하루새 사망자 5명
2020.08.29
이외에 서울 구로구 아파트-금천구 축산업체(33명), 관악구 무한구(九)룹(66명), 노원구
빛
가온교회(17명), 광주 동광주탁구클럽(14명) 등 20여곳에서 집단발병이 이어지고 있다. 새 감염사례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서울 동작구에서는 서울신학교 기도모임에 참석한 7명이 확진됐고 경기 ... ...
머리카락보다 가는 네 발로 걷는 초소형 로봇 부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발로 걷는 초소형 로봇 부대가 개발됐다. 약 100만개에 이르는 이 초소형 로봇에 레이저
빛
을 쏘면 네 다리를 움직이며 걷는다. 마크 미스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전기및시스템공학과 교수팀은 두께 5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길이 40㎛ 크기의 로봇을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별 헤는 밤 망치는 우주쓰레기 어이할꼬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10m 아래의 오차범위까지 우주 쓰레기를 추적할 수 있다. 다만 이런 방법은 우주 쓰레기가
빛
을 받고 관측소는 어둠 속에 있는 새벽이나 황혼 무렵에만 활용이 가능하다. 미카엘 스테인도페르 오스트리아 과학학술원 우주연구소 연구원팀은 새벽이나 황혼이 아닌 낮에도 우주 쓰레기를 추적할 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