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인공지능 시대, 십 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소비자가 돼보자. 과학스토리텔러 양성 과정 1기 당선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작년부터 ‘과학스토리텔러 양성 과정’을 통해 실제 활동할 SF 작가를 양성하고 있다. 소설뿐 아니라 영화, 만화, 웹소설 등 장르를 가리지 않는 다양한 글쓰기 교육부터 등단까지 지원하는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아닌 가상에서만 존재하는 디지털 친구와 소통할 수도 있답니다. _ 인터뷰 유범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단장) “친구들을 가상에서 만날 수 있어요!” Q 4D+ SNS를 왜 만드셨나요?최근 사회적 거리두기로 VR, AR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요. 하지만 콘텐츠의 99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대에 맞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연구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다. 한 예로 9월 3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안전, 소재, 반도체, 양자 등 9개 주제로 ‘버추얼 랩(Virtual Lab)’을 꾸렸다. ‘가상 연구실’이라는 뜻을 가진 버추얼 랩은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자들이 자료를 공유하고 비대면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부연구위원은 “그동안의 데이터와 수리생태학적인 예측 모델을 통해 추정해보면 한국을 방문하는 새는 1년에 최소 수천만 마리 이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Q 충돌 사고가 가장 많은 새는 무엇인가요?A “소형 산새류 충돌 사고가 전체의 68%”조류와 인공구조물의 충돌 사고는 빈번하게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당뇨병 등의 질환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영장류를 대상으로 전임상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 목줄로 반려견 돌본다전자 피부 기술은 반려동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실제로 장 교수팀은 2020년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동호회, 드라마, 쇼핑 독일어 노출 늘리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노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들은 몇 년을 독일에 있어도 독일어 실력이 늘지 않았고 결국 한국으로 돌아갔다. 물론 처음에는 말을 잘 못하니 현지인 친구들을 사귀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독일어 교육원에는 똑같이 독일어를 잘 못하는 외국인들만 있다. 더군다나 대학을 준비 중이라면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문제가 생겨도 다른 데이터센터의 시스템으로 문제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국의 미래 클라우드 연구 국내에서도 미래 클라우드 기술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통신 사업자인 KT, SK텔레콤 등을 포함해 주요 인터넷 기업은 자사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운용 중이다. 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특별히 좋아하는 숫자가 있나요? 행운의 7? 한국인이라면 삼세번의 3? 수학을 좋아하면 누구나 한번쯤 외워보는 원주율? 저도 좋아하는 숫자가 여럿 있지만, 이번엔 그중에서도 군론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대한 숫자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우리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수는 자연수예요. 이런 ... ...
- [과학뉴스] “음식이 상했어!”라고 알려주는 스티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더워지며 배송 중에 식품이 상하진 않을까 걱정한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지난 4월,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교수팀은 식품이 상온에 몇 시간 노출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콜드체인* 안심 스티커’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10℃ 이상의 상온에 두면, 스티커 뒷면에 새긴 이미지가 선명해지도록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특히 전동 킥보드는 무게중심이 쉽게 이동해서 주행 중 넘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노창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모빌리티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전동 킥보드의 주행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을 진행했다. 노 수석연구원은 전동 킥보드 주행 영상을 촬영하고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해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