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8분 동안 물속을 헤엄칠 수 있어요.잠깐! 등지느러미에 GPS가?남방큰돌고래는 바다에서 최대 시속 40㎞의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데다 잠수를 하기 때문에 쫓아다니며 연구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래서 위성위치추적장치(GPS)를 등지느러미에 달아서 제돌이가 어디에 있는지 인공위성으로 확인해요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가우스(1777~1855)는 정수론, 통계학, 해석학, 확률론 등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겨 19세기 최대의 수학자로 불린다. 하지만 가우스가 1807년부터 50년 간 독일 괴팅겐대학의 천문대장이었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1801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는 작은 행성을 발견한다. 이 행성이 바로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법칙에서 나온 아이디어다. 전 우주에 걸쳐 열적으로 평형상태가 이뤄지면 엔트로피가 최대가 되는 안정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는 더 이상 아무런 활동이 생길 수 없으며 그건 곧 종말이라는 소리다.쉽게 생각하면 이렇다. 똑같은 양의 0℃인 물과 100℃인 물을 섞으면 얼마 뒤 전체 물이 50℃가 된다.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압은 1억~10억V(볼트)이므로 비가 오는 날 바깥에 서서 번개를 맞을 경우 이론상 몸에 최대 100만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번개에 맞아 죽기 싫다면 프랭클린의 방법은 절대 따라하지 말 것!프랭클린의 가슴도 찌릿하게 울릴 미니 피뢰침준비물 캐릭터 도면, 압전기, 실, 은박 테이프, 검은 도화지(2장),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홀, 레이테 섬에서 만날 수 있는 안경원숭이는 6만7000~7만9000Hz의 초음파를 내고 최대 9만1000Hz의 초음파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보르네오 섬에는 초음파로만 소통하는 ‘머리에 구멍 난 개구리’도 있다. 주변에 시끄러운 폭포가 있어 귀가 두개골 쪽으로 들어가 머리가 구멍 난 것처럼 보인다. 개나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8, 29일 고려대와 공동으로 노벨상 수상자 4명을 포함해 세계적 석학 11명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과학 학술행사 ‘미래과학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아리에 와르셸 교수(73)도 참가해 각계의 관심이 뜨겁다.앤더슨 총장도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과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3개 주관기업이 함께 일군, 우리나라 최대의 항공기 개발 성과다. 이 과정에서 항우연의 연구개발 사업을 총괄하며 국산 헬기기술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끈 인물이 있다. 항우연 항공분야 사업을 총괄하는 이대성 단장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각 때문이다. 에너지연에서 연구하는 동안 ‘바이오 디젤 상용화 성공’을 남은 최대의 숙제로 보고 있다. 식물의 구조는 치밀하게 굳어진 섬유(셀룰로오스)로 돼 있다. 이 셀룰로오스 구조를 인위적으로 풀어내면 ‘당질’로 바뀐다. 미생물이 분해하면 즉시 알코올로 만들 수 있는 구조다.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5월, ‘하나은행 차세대 시스템’을 세상에 선보이게 됐다. 이 시스템은 하나은행 역대 최대 규모의 전자 금융 시스템이다. 금융 거래는 단 0.00001%의 오차도 허용하지 말아야 하기 때문에, 더욱 정교하게 설계해야 했다. 이때 유 본부장의 수학적 감각과 꼼꼼한 성격이 빛을 발했다. 날짜와 금액과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8.5 시나리오를 따라간다면 21세기 후반에는 연간 11mm까지 늘어난다. 해수면도 평균 63cm, 최대 82cm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참고로 제4차 보고서에서는 평균 59cm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과연 지구 온난화의 끝은 어디일까. 제5차 보고서는 온실기체 배출을 완전히 멈춘다고 해도 기후변화는 수백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