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뒤렌마트는 미로 탈출의 새로운 해법을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그는 늘 “미로의 길을
찾기
위해선 어린 아이가 되어야 한다”라고 말했죠. 어린 아이의 천진함과 창의적인 생각이 길 찾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에요. 그 방안으로 자신의 작품 ‘무시당하는 미노타우로스’의 남자처럼 미로 벽에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럿이 함께 메르센 소수를 찾는 계획이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컴퓨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런 컴퓨터는 만들기 쉽지 않으므로 그 대신 평범한 컴퓨터를 수십만 대 연결해 그런 효과를 낸다. GIMPS라고 불리는 이 계획은 1996년 386대의 컴퓨터로 ... ...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변수로 두느냐에 따라 원하는 값을 구하는 방정식을 만들 수 있다.과학에서 방정식
찾기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공식을 많이 사용하는 과학에서 방정식은 매우 자주 쓰인다. 사실 과학 시간에 배우는 거의 모든 공식이 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몇 가지 문제의 예를 보자.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➍ 속의 얼굴을 보세요. 한 얼굴에 앞모습과 뒷모습이 동시에 그려져 있어서 원래 모습을
찾기
가 어렵죠? 이렇게 뒷면, 옆면 등 다양한 면을 한 면에서 볼 수 있게 그린 그림을 ‘입체주의’ 작품이라고 해요.이 그림의 주인공은 피카소의 연인이기도 했던 사진작가 도라 마르예요. 긴 머리에 화려한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방정식입니다. 처음부터 모르는 수를 x나 y와 같은 미지수로 정하고 식을 세워서 답을
찾기
때문입니다. 상황을 방정식으로 만들어 풀려면 문장을 수식으로, 수식을 문장으로 바꾸는 초등학교 과정과 문자를 포함한 방정식을 푸는 중학교 과정을 익혀야 합니다. 이유2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동쪽으로 잰 각)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첨성대의 기능과 방향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꼭 측정해야 하는 값이다.첨성대 방향, 해가 질 때 방위각과 관련 있나 이번 관측에서는 춘분날 즈음에 해가 지는 각도를 측정해 혹시 첨성대가 향하는 방향이 해가 뜨고 지는 각도와 관련이 있는지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탄 사람이 엄청난 속도에 놀라거나 어지러움을 느낄 것 같아서 다른 방법을
찾기
로 했다. 바로 초고속 더블 데크엘리베이터!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1분에 600m를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통 엘리베이터보다 두 배로 많은 사람을 태울 수 있다.빠른 속도와 높은 효율, 더블 데크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씨의 제안처럼 수학자가 낸 미로의 길을 찾아 보는 것은 어떨까요?미로하면 역시 길
찾기
아니겠습니까? 이걸로 심사위원들의 실력도 검증할 수 있을 것 같은데.모두들 동의하시는 거지요? 그럼 조르당씨가 가져 온 문제를 내도록 하겠습니다. 심사위원분들은 모두 미로 앞으로 나와 주세요.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히데요시가 조선 고추 종자 가져갔다”권대영 박사는 일본에서 고추에 대한 자료를
찾기
위해 1990년 교토를 방문했다. 대학 시절 일본어를 배운 덕에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국내 전문가의 주장과 달리 일본의 문헌에는 고추를 조선에서 가져왔다는 문헌이 존재했다. 1593년에 지어진 일본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편에서 넘어야 할 벽은 더 있다. 우리 사회에서 글쓰기를 통해 소통하려는 과학자를
찾기
가 쉽지 않은 점도 어려움 중의 하나다. 사이언스온은 필자수를 30~50명 선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연구를 주업으로 하는 연구자에게 글쓰기는 과외일이나 다름없다 보니 학교나 연구실에서 주위의 눈치를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