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형뽑기 마스터의 길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뽑기가 취미인 사람들을 위한 공략집을 만들었다.인형뽑기 마스터 윤석균 씨는 4개월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뽑은 인형만 3000개가 넘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무리 인형뽑기 마스터라도 한 번에 원하는 것을 모두 뽑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윤석균 씨는 “한 번에 나오는 상황이 있고, 설계를 해야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가장 많이 살고 있어요.이곳은 경쟁이 아주 치열해요. 좁은 곳에 많은 생물이 모여살고,
조금
의 빈틈만 있으면 금세 새로운 생물들이 그곳에 뿌리를 내리죠. 일부 생물들은 비어 있는 장소에 정착하기보다 이미 다른 생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빼앗기도 해요.예를 들어 총알고둥은 따개비의 덮개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을 하고 있다.메이커로서 첫 걸음을 떼다서울에서 방문하기엔
조금
먼 감이 있었지만 ‘나만의 공기청정기를 만들겠다’는 일념 하나로 충주에 있는 한국교통대 무한상상실을 찾았다. 프로그램 예약 사이트에서 하루 이틀 사이에 마감된 인기 강좌다. 강의실은 어린 자녀를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여기에 거대한 선풍기로 바람을 불어준 뒤 공기저항을 측정한다. 점토를 떼어내 모형을
조금
씩 바꿔가며 공기저항이 낮아질 때까지 실험을 반복한다. 공기 흐름 계산은 수학의 난제 풍동실험은 점토 모형의 가격이 비싸고 실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수학 이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으로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카메라 렌즈에서 사람의 머리와 다리까지의 거리가 달라 종배율이 달라지게 돼. 거리가
조금
만 변해도 종배율은 많이 변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해.롱다리로 나오고 싶으면 카메라를 정면보다 아래에서 찍어 봐. 그러면 렌즈에 가까이 있는 다리는 종배율이 커져서 길게 나오고 멀리 있는 얼굴은 작게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날개옷을 입고 하늘로 뛰어드는 모습을 보던 하림도 일단은 모든 걸 잊고 신나게 놀았다.
조금
익숙해지자 날개를 움직여서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었다. 한쪽 편 저 멀리 거주 공간이 보였다. 커다란 건물도 인공호수도 모두 조그만 모형 같았다. 물 위에 배를 띄워 놓고 노는 사람들도 보였다.‘나도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29주에 태어난 아기는 거의 모두 살릴 수 있다. 그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도 생존 가능성은
조금
낮아지지만 충분히 가능하다. 우리 병원에서도 얼마 전 임신 25주에 570g으로 태어난 조산아를 살려냈다”며 “하지만 24주 이전, 허파꽈리가 발달하지 않은 조산아는 현대 의학으로도 어떻게 할 방법이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뛰어난 상상력을 바탕으로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생성해 마지막 난제에
조금
씩 다가서고 있다.우베 피셔(Uwe R. Fischer)_uwerfi@gmail.com독일인 이론물리학자. 2009년부터 서울대에 재직 중이다. 독일 튀빙겐대에서 박사학위와 조교수 자격을 받았다. 핀란드 헬싱키대,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전체의 5%에 불과했다. 환경적인 이유로 돌연변이가 일어난 경우도 전체의 3분의 1에
조금
못 미쳤다(29%). 반면 무작위로 일어난 돌연변이가 암으로 발전한 경우는 전체의 3분의 2(66%)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암의 3분의 2는 인간의 힘으로는 막을 수 없는 암이라는 뜻이다. 이는 그동안 무작위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동대문 시장에 있는 한 가게에서 카무트밀을 구했다. 이 밀가루는 일반 밀가루보다
조금
거칠고, 미숫가루처럼 누랬다.두 번째 미션. ‘고대 이집트스럽게’ 발효시켜라고대 이집트에서는 밀가루 반죽을 어떻게 발효시켰을까. 이에 대한 답을 발효빵이 세계 최초로 탄생하게 된 설화에서 엿볼 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