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급진적인 내용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글로벌 로펌 오스본 클라크의 법률 전문가 애쉴리 모건은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로봇을 만들고 그 로봇이 특허를 얻을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면, 그 특허의 소유자는 나인가, 로봇인가. 로봇을 팔면 로봇이 개발한 지적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담당자에게 알림이 가도록 하는 식이다.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아도 심리치료 전문가가 빠르게 개입해 위험 증상을 보이는 피해자를 돌볼 수 있다.강력범죄를 경험한 피해자들에게 정신적인 상처가 남을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말이다. 모두가 그들의 아픔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학 문제를 빨리 풀어 블록을 만들려면 높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기 때문에, 채굴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 있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만약 누군가 월등한 계산 자원을 투입해 항상 그 사람만 채굴을 하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은행과 같은 신뢰를 얻을 수 없다. 블록에 저장된 거래 내역을 매번 ...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적어도 10년 안에 컴퓨터가 전문 번역가 수준이 될 거라 예측한다. 그러면 교실 풍경부터 변할 것이다. 이창기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독해와 문법보다 실시간으로 원어민과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교실 밖은 어떨까.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은 ... ...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진료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왓슨은 현재 병리과, 내과, 핵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협진하는 다학제 진료의 한 구성원으로서 소견을 내고 있다. 왓슨의 소견을 인간 의사들의 처방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왓슨의 목소리가 결코 작지 않다. 최근엔 부산대병원과 ... ...
- [Issue] 술, 안주 없이 마셔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자체의 영양가는?그렇다면 다시, 술만 마시면 살이 찌지 않는 걸까요? 영양학 전문가들의 답은 ‘No’입니다. 마신 알코올은 약 10%만 배설되고 나머지는 몸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몸에 남은 90%는 알코올탈수소효소(NAD+)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틸조효소에이(Acetyl-CoA)로 차례로 전환됩니다. ...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이에서 아주 흔하게 쓰입니다. 로저스 교수팀의 논문에 따르면 실험에 참여한 협상 전문가들은 “허위 진술을 하는 것보다는 윤리적이라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자주 사용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평가는 가혹했습니다. 호도성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는 순간 참여자들은 상대방에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빨리 격리시켜야지. 바이러스 전문가라며?”말문이 막힌다. 그리고 나는 바이러스 전문‘기자’라고요. 이제 와서 소용도 없지만.여기뿐 아니라 각 구역에는 변종 플루 확진자가 200명씩 격리돼 있다. 독감이 사람을 골라 감염시키는 게 아니므로 여기에는 어른도 있고 아이도 있고, 교사, 학생,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결국 독감이 유행하게 된다.이종 간 전염 정확히 예측하려면 역학 연구 필요국내외 전문가들은 수리모델을 활용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파하는지, 어느 시기에 어느 집단을 대상으로 대책(약물 치료나 격리 등)을 세워야 확산을 막을 수 있는지 예측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이런 점을 고려해 원래 건축물의 길이를 추정해야 하지요.마코스키 교수는 이 분야 전문가인 마빈 트라첸버그 미국 뉴욕대 미술사학과 교수와 이자벨라 하이만 미국 뉴욕대 미술사학과 교수가 측정한 결과를 이용해 파르테논 신전은 황금비와 거리가 멀다고 주장했어요. 오히려 파르테논 신전의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