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
장롱
마켓
창자
장농
농
페이지
d라이브러리
"
장
"(으)로 총 3,731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직접 개발한 ‘훈연소독기’예요. 은행잎을 넣고 태워서 나오는 연기로 모기를 잡는
장
비랍니다. 이런 반짝이는 아이디어들로서울시에서 희망서울창의상도 받으셨어요. 은행잎에는 프라보노이드, 터페노이드 같은 살충 성분이 20여 가지나 들어있어 살충 효과가 커요. 플라스틱 통에 들어 ... ...
모모와 요괴들의 수상한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감독님께 물어 보자.일본 에도시대 중기에 쓰여진 목판 그림책 ‘키뵤우시’에 등
장
하는 요괴를 보고 영감을 얻었어요! 어때요? 익살스럽지요? 영화는 7월 5일에 개봉하니까 그때 만나요~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날아든 제비나비를 조명을 이용해 촬영했다. 물이 흘러내리는 유리판으로 비가 오는
장
면을 만들었다. 사진기로 그린 그림파스텔 느낌을 주는 나비 날개와 흔들린 꽃잎, 동그랗게 반사된 물방울이 마치 유화로 그린 그림 같다. 나비와 물방울만으로 최고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번 겹쳐서 ... ...
[퍼즐탐정 썰렁홈즈]프랑스 소설가 ‘그를좀 쓰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띵동~’아침 일찍 썰렁홈즈의 집으로 편지가 한
장
도착했다. 친구인 프랑스 소설가 ‘그를좀 쓰넹’이 보낸 편지였다.“내 친구~, 홈즈! 오랜만이네. 지금 나는 아주 ... 지우개 똥으로 우리 똥 싸움이나 해 볼까?”
장
난으로 시작한 썰렁홈즈와 쓰넹의 지우개 똥 싸움.
장
난 아니네…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무게의 물질이라도 표면적이 훨씬 넓고 세공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장
종산 박사는 “다양한 금속 이온과 리간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수만 종류의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 완구 레고와 같다”고 설명했다. 블루케미스트리가 최소한의 물질로 효과를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후기 수학의 황금시대를 이룩했다.정조(1752~1800)는 조선시대 22대왕으로, 왕실 도서관인 규
장
각을 설치하였다. 능력이 특출하면 과거 급제자가 아닌 사람도 선발하는 등, 뛰어난 인재를 고루 등용했다.옥황, 이제 알겠지? 왕이 수학을 얼마나 중요시 여기는지에 따라 나라의 발전이 좌우된다고. ... ...
지구 자기
장
,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웹크롤링으로 얻은 정보를 자신들만의 ‘비밀 알고리듬’으로 가공해 예언을 한다고 주
장
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교수는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컴퓨터 기술은 오늘날도 걸음마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교수는 “지금까지 컴퓨터 기술로는 빅데이터로 현 상황을 분석하는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색깔이 바뀐다. 색변환잉크의 특허는 우리나라 조폐공사가 갖고 있다.국내 지폐 중 가
장
고액권인 5만 원권의 입체형 부분노출은선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입체형 부분노출은선은 지폐를 상하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좌우로 움직이고, 지폐를 좌우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상하로 움직인다. 그 ... ...
“대학 교수와 함께 연구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앤드류 파이어 박사를 초청해 강연을 들었다. 뿐만 아니다. 전(前) 현대중공업 사
장
을 비롯해 과학 관련 대기업 CEO의 강연도 들을 수 있었다. 대진고 학생들의 더 높은 도약이 기대된다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미 빈번해지고 있다. 대비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모든 행사가 끝나고 조용해진 강연
장
에서 드디어 정상섬 교수와 Sci-Fac학생들이 마주 앉아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눴다. 김도은 학생이 토목공학과를 선택한 계기를 묻자 정 교수는 ‘사상누각’을 이야기했다. 모래 위에 지은 건물은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