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d라이브러리
"
원
"(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취미로 직접 제작도 하던 이 대표는 도움을 주기로 마음먹었다. “제가 아는 지식을 총동
원
하면 만들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제가 제일 못하는 모델링은 다른 분의 도움을 받았고요.” 그는 미국 미주리주 소재 세인트루이스워싱턴대(WUSTL) 학생들이 만든 의수를 참고해 어깨 관절에 가속도 센서를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다른 모습이었다. 수학의 힘은 놀라웠다. 뉴턴은 당시 과학계의 뜨거운 감자였던 타
원
궤도 증명 문제를 손쉽게 해결한다. 혜성의 주기는 물론 지구가 어느 방향으로 볼록할지도 예측한다. 모두 수학이라는 강력한 무기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보편중력 법칙은 하늘은 완벽하고 땅은 불완전하다는 ... ...
[이달의 사물] 구글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사가 75만 달러(8억3000만
원
)를 받았다.구글은 지난 2월 10일 기준으로 시가총액 804조
원
의, 세계 4위 기업이다.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가 1위였는데, 정확히 시가총액이 구글의 절반이었다. 과학에 돈 쓰는 것도 절반이면 우리나라도 지구를 떠나는 사람이 좀 생길 텐데 ... ...
[Info]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원
하는 분야를 확인하고 진로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기자가 다니던 대학에는 수억
원
짜리 최신 현미경과 최고 수준의 교수들과 최신 논문이 있었다. 그럼에도 지리산의 학생들처럼 과학을 좋아한 것 같지는 않다. 취재를 하면서 과학 불모지나 다름없는 지리산에서 과학의 꿈을 피운 후배들이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임무를 제안하며 이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어요.”1kg짜리 위성 하나를 1억
원
정도면 발사할 수 있다고 했다. 굳이 비싼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가지 않아도 되니 얼마나 좋은지. 더구나 추진모듈까지 더하면 항성간 우주선 탑재물로도 개발할 수 있다고 했다. 노아의 방주처럼 생명체를 담아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우연히 탄소나노튜브에 이온성 액체를 입히고 열처리를 하면 질소나 황, 인과 같은
원
소가 많이 들어있는 탄소층이 만들어져 촉매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새로운 ‘탄소 촉매’는 가격이 백금의 10분의 1인 데다, 아직 실험 단계지만 효율도 백금 촉매의 80%까지 따라 잡았다. 지금까지 ... ...
[과학뉴스] 스페이스 X, 로켓재활용 첫 시도 X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밝혔다. 스페이스X의 CEO인 엘론 머스크는 “유압식 장치에 작동유가 부족한 것이
원
인인 것 같다”며 “다음 시도에서는 작동유를 50%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장문의 뉴스를 간단하게 요약해서 보여주는 앱으로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야후가 300억
원
에 이 앱을 인수했습니다. 이런 훌륭한 사례도 있지만, 저는 중고등학생 여러분께 학창시절에는 내실을 다지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전문 지식을 배우기 위한 기초지식을 쌓고 운동도 하면서 체력을 기르는 ... ...
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사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단순히 삭제했다가는 컴퓨터가 먹통이 된다. 이를 막 기 위해서는 먼저 정상 파일을 복
원
한 뒤 악성코드를 삭제해야 한다. 이렇게 새로운 악성코드 하나를 해결 하는 데 평균 4~6시간 정도 걸린다.특별히 까다로웠던 프로그램은 없을까. 정 이사는 북한 악성코드를 ‘사이코패스’라고 불렀다.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27건에서 2013년 167건으로 최근 7년간 6배 이상 성장했다. 열전 및 압전 기술이 전체 특허출
원
의 88.5%를 차지하고 있다. 조병완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에너지 하베스팅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스마트시티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