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1 586 칩 펜티엄 출현예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컴팩과 IBM은 유럽에서도 가격인하정책을 써 로컬 업체들과 경쟁을 벌였고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지난해 PC시장은 386기종에서 486기종으로의 기술전환이 급속히 전개됐던 한해로 기억될 것이다. 이는 윈도우즈(Windows) 등 고성능 소프트웨어가 컴퓨팅 환경을 주도해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질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가령 지도책을 CD롬으로 만든다고 하자. 종이로 된 책은
아시아
의 어떤 지명을 찾기 위해서 그 지역의 지도를 펼쳐놓고 작은 활자를 샅샅이 뒤져야 한다. 그러나 CD롬 지도책은 그 지명을 선택만 하면 그 지명이 수록된 지도가 화면에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그 지명에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및 세균을 이용한 탄산가스 고정화 기술을 개발중이나 아직 미미한 단계다. 열대 우림은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중남미의 세지역에 분포한다. 1978년 세계의 산림면적은 약 25억㏊로 1년에 약 2천만㏊가 감소하고 있다. 이런 열대림은 그 성장과정에서 ${CO}_{2}$고정이 활발하다. 만약 연 2천만㏊의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단말기 39대를 설치, 무료 서비스한 것이 시초다. 당시의 비디오텍스 서비스는 86
아시아
게임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대(對)국민 서비스용이라기보다 국내의 첨단 기술력을 대외에 알리는 측면, 즉 국내정보통신기술의 과시라는 측면에서 실시된 것이다.그후 1990년 한국통신에서 정보통신 대중화를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멋진 공룡화석을 세계 각지에서, 특히 미국의 많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게 됐다.한편
아시아
대륙에서도 공룡의 골격 족혼알 등이 속속 발견됐다. 특히 광활한 국토를 가지고 있는 중국과 몽골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룡화석의 보고다. 20세기 전반에 중국 서부의 미개척지로 진출한 중국인들은 그곳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매우 단편적이지만 조각류의 발자국들이 발견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중생대 동부
아시아
지역 해륙의 분포, 즉 고지리해석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가 될 것이다.공룡의 이빨화석은 현재까지 5~6개가 발견됐다. 이들은 대개 카마라사우리데(Camarasauridae)과에 속하는 것을 위시해서 여러가지 크기와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어린 헬레는 그만 붙잡고 있던 손을 놓쳐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다. 헬레가 떨어진 곳은
아시아
와 유럽의 경계가 되는 해협이었는데 뒷날 사람들은 헬레의 가없은 운명을 기억하고자 이 해협을 헬레스폰트라고 불렀다.혼자 남게된 프릭수스는 양을 타고 계속 날아가 흑해의 동쪽 연안에 안전하게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첫째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는 글로소프테리스(Glossopteris)가 자랐었고 우리가 살고 있는
아시아
대륙에서는 자이간토프테리스(Gigantopteris)가 번성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우랄에서 시베리아를 거쳐 알래스카에 이르는 대륙에는 칼리프레리스(Callipteris)가 대표속으로 나타난다.이처럼 한때 ... ...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뒤지지 않는 기술력과 값싼 비용을 무기로 충분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90년 10월 5일, '
아시아
새트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한 이래, 92년 8월 14일, 호주의 '옵터스1호' 통신위성도 성공시켰다. 급증하고 있는 통신위성의 수요에 따라 중국의 로켓은 더욱 우주를 누빌 가능성이 커졌다.중국의 ... ...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알의 숫자를 줄일 필요가 있다. "직접발생을 하는 개구리는 아메리카대륙에 뿐만아니라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된다"고 두엘만 박사는 말한다. 전세계적으로는 약8백종. 발견된 개구리의 약20%를 차지한다.더욱더 놀라운 것은 알이 잡혀먹힐 위험을 아예 없애버린 '태생 개구리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