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현상을 말해요. 삼투 현상은 반투과성 막이 물만 통과시키는 게 특징인데, 젤리의 껍질이
바로
반투과성 막 역할을 한 거죠.세 개의 젤리 모두 바깥의 용액보다 젤리 속의 농도가 더 높아요. 그래서 농도가 낮은 용액의 물이 농도가 높은 젤리 속으로 이동하지요. 설탕물도 생수와 마찬가지로 젤리의 ... ...
어과동 16주년 팬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갑자기 고개를 들어 카메라에 콧구멍을 보여 주는 게 아니겠어요. 알고보니 질문의 답은
바로
‘콧구멍’! 정한길 기자는 “콧구멍이 커서 어릴 때 부터 소를 닮았다는 소리를 자주 들었다”며 “닮은 동물을 20년 넘게 그리다 보니 완성된 캐릭터”라며 닥터 소의 탄생비화를 들려주었답니다 ... ...
[질문하면 답해ZOOM]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얇은 생물막을 이뤄요. 이를 ‘치태’라고 하지요. 이 치태가 단단하게 굳어진 것이
바로
‘치석’이에요.치석이 생기는 과정은 침의 성분과 연관이 있어요. 침의 칼슘과 인 성분이 치태와 결합하여 돌처럼 단단히 굳은 덩어리가 돼요. 그래서 치석은 주로 침샘과 가까운 잇몸 쪽에 생기죠. 특히 혀 ... ...
노벨물리학상│아인슈타인도 반대한 블랙홀, 펜로즈가 증명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훗날 ‘사건 지평선’이라 불릴 둘레 안에서는 중력이 커서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해요.
바로
‘블랙홀’이 된 거지요.아인슈타인은 블랙홀이 계산 결과일 뿐, 실제 우주에는 없다고 주장했어요. 슈바르츠실트는 회전하지 않고 이상적인 공 모양의 별을 가정했거든요. 실제 별은 그렇지 않으니 ... ...
[과학뉴스] 택배 박스 줄게, 친환경 연료 다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지요. 그런데 이를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가 있어요.
바로
바이오디젤이죠. 게다가 바이오디젤은 화석연료와 달리 미세먼지나 온실기체를 거의 내뿜지 않는 친환경 연료로 손꼽혀요.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이선미 박사팀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 ...
[기획] 우주 생명체가 발견됐다?! 이제는 금성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그런데 최근 화성에게 새로운 도전장을 내민 행성이 나타났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금성! 국제공동연구팀이 금성의 대기에서 생명 활동의 결과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한 것인데요. 이게 무슨 뜻일까요? 금성에 진짜 생명체가 있는 걸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우주 생명체가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캔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만들어 보자!이번 스미스의 탐구생활에선 캔을 이용해 로봇을 직접 만들어 볼 거예요.
바로
아래 보이는 로봇으로, 음료수 캔을 몸통으로 하는 ‘깡통 로봇’이랍니다. 깡통 로봇 키트엔 캔을 감싸줄 몸체 고리와 건전지를 넣을 케이스, 그리고 두 개의 노란 바퀴와 나사가 들어 있어요. 건전지로 ... ...
[특집] 숨은 전기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줄이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랍니다.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알뜰하게 수확해(harvest) 이를 전자 제품에 공급시키는 거죠.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면 어디에서나 전기 에너지를 만들 수 있어요. 평소 ... ...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덕분에 상대적으로 더 따뜻하기 때문이죠. 이 온도차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바로
열전 소자예요. 열전 소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랍니다. 열전 소자는 두 금속판 사이에 반도체가 끼워진 모양이에요. 한쪽 금속판에만 열을 가하면 열전 소자의 양쪽에 온도 차이가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보지는 못했지만 이런 입자가 아마 있을 것 같다!”며 예측한 사람이 있었어요.
바로
20세기 양자역학에 큰 영향을 끼쳤던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였죠.파울리가 단서를 얻은 것은 1930년대 이뤄지던 중성자 붕괴 실험에서였어요. 당시 물리학자들은 중성미자가 있는지도 몰랐기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