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상
파두
badawi
d라이브러리
"
바다위
"(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오는 26일에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에로스에 망원경의 초점을 맞춰보고 중순부터 시작되는 물병자리 별똥별의 장관을 감상해보자.장마가 시작되는 7월은 덥고 습도가 높아 짜증나는 계절이다. 그래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는 가장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달이기도 하다.그러나 아무리 장마철이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정부관에서는 지난 30년간 우리가 걸어온 발자취와 현재의 위치, 그리고 미래에의 도전을 다양한 영상기법을 통해 보여준다.자연생명관에서는 지구탄생에서 인류진화까지, 또 인체 속 내부를 세포수준까지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엑스포장 한가운데 자리잡은 정부관은 93대전엑스포를 대표하는 주 ... ...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지금으로부터 약 1억8천만년전, 세계 각 대륙은 하나로 연결되어 초대륙을 형성하고 있었다. '판게아'라 불렸던 이 대륙이 왜 해체되었는지 그 메커니즘은 베일에 싸여 있다.미국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의 존 바움가드너는 1992년 12월에 열린 미국 지구물리학자 모임에서 플레이트텍토닉스이론(판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고장난 위성을 수리하며 우주실험실을 운영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는 우주왕복선의 구조와 원리를 살펴보자.새와 같이 하늘을 자유로이 날고싶은 인간의 꿈은 대단히 오래됐음이 틀림없다. 희랍신화에서 나오는 데다루스의 아들 이카루스가 시도한 '날개비행'이 그 표 ... ...
모두를 위한 남극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69년 남극에서 멸종된 파충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남극은 한때 지금보다 따뜻한
바다위
에 있었던 초(超)대륙이었다는 사실이 확실해졌다. 남극의 화석들은 지구상의 대륙들이 오랜 세월을 거치며 움직였다는 학설을 증명하고 있다.지금도 남극의 산들 사이 건조한 계곡에는 생명체가 살고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우리의 몸은 개일시계와 개년시계를 지니고 있다. 이 생체시계를 관장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슬슬 「몸」을 풀기 시작하면….새벽 1시면 닭은 홰를 치며 운다. 깊은 잠에 든 농부들에게 첫 새벽을 알리는 동물시계다. 분꽃은 곁두리(샛밥) 때면 꼭 활짝 피어 시간을 알려주는 농촌아낙네들의 꽃( ... ...
F-16·F/A-18 성능비교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최근 물의를 빚고 있는 차세대 전투기 사업(KFP)과 관련, F-16과 F/A-18을 둘러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차세대 전투기 사업이란 무엇일까. 또 F-16과 F/A-18은 어떻게 다른가.우리나라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은 1983년 정부가 세운 FX계획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한마디로 '국산 전투기의 단계적인 자체생산계 ... ...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위기에 빠진 테크노피아의 세계를 구출한 후에는 사물놀이 로봇이 연주하는 우리 가락을 감상하고 신비한 가상현실의 세계를 체험한다.태양과 땅, 그리고 물을 상징하는 복합건물이 럭키금성의 테크노피아관이다. 지상에서 하늘로 비약하는 이미지, 또 우주공간으로부터 오는 모든 빛(정보)을 받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에너지는 저위도대가 고위도대보다 훨씬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위도대의 온도가 매년 높아지는 일도 없고 고위도의 온도가 계속 낮아지지도 않는다. 왜 그럴까.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약 1억5천만㎞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행성인데, 태양을 중심으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민물고기는 바다에서 살 수 없고 바닷물고기는 민물에서 살 수 없다. 그러나 뱀장어는 온갖 어려움을 딛고 민물에서 바다로 가는데, 이는 종족보존을 위한 진화의 결과인 듯하다.민물에서 사는 뱀장어는 알을 낳을 때는 바다로 간다. 이같은 산란의 특이함 때문에 뱀장어의 생태는 오랜 옛날부터 관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