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낳았다. 비록 어머니를 복제해 태어났지만 돌리는 아직까지 보통의 양과 전혀 다를
바
없이 활동하고 있다.돌리가 태어난 이후 체세포를 복제한 동물들이 줄지어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생쥐를, 일본과 뉴질랜드에서는 소를 복제해냈다. 인간 주위의 동물들을 하나둘씩 복제함으로써 그 중심에 있는 ... ...
Y2K스트레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각종 천문뉴스, 세계의 천문대, 천문 유적지, 별자리 등이 자세하게 소개돼 있다.워
바
이블(go WARBIBLE) : 머나먼 우주에서 찾아온 침략군과 펼치는 세계 최초의 SF 온라인 그래픽 멀티플레이어 게임.생생 애니메이션(go SSANI) : 국내에 소개된 애니메이션의 90% 이상의 이미지/사운드/동영상 자료와 뉴스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구원들의 자존심을 흔들어놓았다.한국으로 돌아온 인공위성연구센터 연구원들은 곧
바
로 우리별 2호의 개발에 착수했다. 비록 모델은 우리별 1호와 같았지만, 그것을 설계하고 조립하는 일을 우리 힘으로 이뤄냈다. 그러나 남이 하는 것을 볼 때는 쉬웠지만 직접 해볼 때는 어려움이 많은 법.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된다.이처럼 21세기에 대해 갖가지 비관적인 전망들이 난무하고 있지만, 낙관적으로
바
라보는 시각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아직도 컵 속에는 물이 절반이나 남아 있다는 것. 어쩌면 과학기술에 의해 컵속의 물이 도로 채워질지도 모른다. 단적인 예로 현재 세계적으로 8억명의 인구가 굶주리고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12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진 비교적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요
바
리아 티구이덴시스는 복잡한 척추뼈를 가지고 있지만 등뼈와 꼬리는 북미지역에서 발견되는 용각류인 디플로도쿠스와 아파토사우루스에 비해 단순하다.탐사팀에 의해 발견된 다른 공룡은 니제르사우루스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하나의 단위로 보고 좌에서 우로 한칸씩 건너뛰어 해당위치에 숫자를 매겨나간다. 줄이
바
뀔 때는 한줄을 건너 뛴다. 이는 8각형의 한변에 해당하는 두 수가 서로 보수(첫수와 끝수)쌍이 되면서 8각형 사이에 있는 4각형을 구성하는 숫자의 합이 일정하게 배열하기 위함이다. 이 외에도 팔각진을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아닌 일부분이다. 어느 경우엔 1/4이고 많이 본다고 해도 1/2을 넘지 못한다. 그것은
바
로 무지개의 나머지 부분이 지표면으로 가려졌기 때문이다. 실제 무지개의 모양은 도넛 형태다. 이것은 물방울의 모양이 구형이므로 여기로부터 반사돼 나온 빛이 만드는 무지개도 3차원적으로 보면 도넛과 같은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낚시꾼들이 흔히 경험하는 일이 있다. 산란기에 피라미나 붕어의 암놈을 낚아 올려 낚시
바
늘을 뽑아내는 순간 이 물고기들은 배에서 누런 알을 사정없이 쏟아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이제 나는 죽는다. 고로 새끼를 남기고 죽어야 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정말로 무서운 본능이 아닌가.식물의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받았지만 그녀는 1년 반 동안 이를 착실히 모아 뉴욕대학 화학과 대학원에 입학했다.아르
바
이트를 하면서 1941년 대학원을 가까스로 졸업한 그녀에게는 전과 달리 행운이 따랐다. 2차대전이 일어나 화학자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다. 그러다보니 연구소들도 여성이라고 마다할 형편이 되지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너무 거리가 멀다.깔때기를 사용해 잉크나 색소를 떨어뜨리는 실험은 앞서도 언급한
바
와 같이 밀도와 확산이라는 개념을 복합적으로 관련시킬 때 유용하다. 또 단순히 물위에 잉크를 떨어뜨렸을 때 관찰할 수 있는 퍼짐이라는 개념에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본 수업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