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주장하면서 생물학은 물론 인류의 지성사에 혁명을 일으켰다. 진화론은 사회,
문화
,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다.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 제도 등 세계를 여행한 다윈은 환경에 잘 적응한 종이 더 잘 생존하고 더 많은 자손을 남긴다는‘자연선택론’을 주장했다.1988년 4월 23일미국 ... ...
신석기 식물에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과연 7000년 전 식물에서 싹이 튼 걸까요?예맥
문화
재연구원이 최근 진귀한 식물을 보고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 식물은 강원도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나온 건데 둥근 뿌리만 남아 있었답니다. 그런데 이 뿌리를 증류수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물)에 넣자 자연적으로 파란 싹이 2개나 돋아났대요. 이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각 분야의 발전과정을 기조로 하여 상호간에 미친 영향과 발전의 사회적 배경 등을
문화
사 · 일반역사와 관련하여 서술하고 있다저자는 본 대학 조교수 · 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우수한 자연과학사 관련서를 많이 썼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작이 이 《대자연과학사》이다혈전 등으로 인해 대정맥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떠이어니레’를 만들면서 전통음악의 세계에 빠져들었다.대학교 2학년 겨울방학 때는
문화
예술진흥원에서 직접 자료를 모아 ‘퉁소연구’라는 소책자를 펴냈다. KAIST 대학원을 1년만에 그만두고 서울대 음대에서 국악이론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한국에 돌아온 그는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40번째 ‘생일’을 맞이하는 해다. 행사장에 들어서면 대한민국 과학기술사와 과학
문화
사 40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둥근벽이 제일 먼저 눈에 띈다. 그동안 과학기술자들이 걸었던 역사를 더듬다보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는 정부출연연구원관에 도착한다.최첨단기술의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파헤치거나 교수형을 당한 시신을 훔쳐 해부한 일화로도 유명하다.요즘에는 시신 기증
문화
가 확산돼있지만 필자가 대학을 다니던 15년 전만 해도 카데바 대부분은 무연고자의 시신이었다. 시립병원에 방치된 노숙자의 시신이 일정기간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실습용으로 쓰였다. ... ...
태권V의 완벽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모자람이 없다.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 로보트태권V 피규어가 열악한 우리 캐릭터
문화
를 업그레이드시키는 가교가 되길 기대해보자.40cm의 훤칠한 키와 9등신 몸매보통 피규어의 크기는 15cm나 30cm가 주류다. 로보트태권V는 거대로봇인 만큼 피규어치고는 큰 40cm 크기로 제작됐다. 9등신으로 표현한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인성면접의 비중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공부만 잘하는 모범생을 뽑기보다는
문화
와 예술 같은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이 있거나 창의적이고 리더십이 뛰어난 학생을 뽑겠다는 포부다.KAIST 입학본부장인 기계공학과 권동수 교수는 “그동안 사회적으로 성공한 동문들을 찾아 그들이 과연 어떤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18.....나는 로즈의 수행비서로 특별 채용됐다. 로즈의 비서들을 위해 마련된 건물의 침대방 하나를 숙소로 배정받았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로즈를 그림자처럼 따르는 비서들이지만 잠은 대부분 밖에서 잤다. 아무리 마음을 편하게 먹으려 해도 건물에 머물면 업무의 연장처럼 느껴진다는 이유였 ... ...
한국 온라인게임계의 거성 송재경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즐기면서 사이버경제시스템이나 온라인범죄가 심각하게 논의될 만큼 온라인게임
문화
가 시대 조류를 읽는 키워드로 떠올랐다. 정부는 2010년 우리나라를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 3대 게임산업 강국으로 키우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내걸기까지 했다. 감동 주는 게임 개발하고파물론 송 사장에게도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