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떠이어니레’를 만들면서 전통음악의 세계에 빠져들었다.대학교 2학년 겨울방학 때는
문화
예술진흥원에서 직접 자료를 모아 ‘퉁소연구’라는 소책자를 펴냈다. KAIST 대학원을 1년만에 그만두고 서울대 음대에서 국악이론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한국에 돌아온 그는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얼마 전 한국과학사의 개척자 전상운 선생의 책을 영어로 번역한 내용을 점검한 적이 있다. 안타깝게도 미국인의 번역문에는 오역이 여럿 눈에 띄었다. 전상운 선생은 앙부일구라는 해시계를 모양대로 ‘오목해시계’라고 불렀는데, 번역자는 절기선과 시간선이 그려진 면이 바둑판 같다고 여겨 ... ...
태권V의 완벽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모자람이 없다.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 로보트태권V 피규어가 열악한 우리 캐릭터
문화
를 업그레이드시키는 가교가 되길 기대해보자.40cm의 훤칠한 키와 9등신 몸매보통 피규어의 크기는 15cm나 30cm가 주류다. 로보트태권V는 거대로봇인 만큼 피규어치고는 큰 40cm 크기로 제작됐다. 9등신으로 표현한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인성면접의 비중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공부만 잘하는 모범생을 뽑기보다는
문화
와 예술 같은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이 있거나 창의적이고 리더십이 뛰어난 학생을 뽑겠다는 포부다.KAIST 입학본부장인 기계공학과 권동수 교수는 “그동안 사회적으로 성공한 동문들을 찾아 그들이 과연 어떤 ... ...
신석기 식물에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과연 7000년 전 식물에서 싹이 튼 걸까요?예맥
문화
재연구원이 최근 진귀한 식물을 보고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 식물은 강원도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나온 건데 둥근 뿌리만 남아 있었답니다. 그런데 이 뿌리를 증류수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물)에 넣자 자연적으로 파란 싹이 2개나 돋아났대요. 이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주장하면서 생물학은 물론 인류의 지성사에 혁명을 일으켰다. 진화론은 사회,
문화
,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다.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 제도 등 세계를 여행한 다윈은 환경에 잘 적응한 종이 더 잘 생존하고 더 많은 자손을 남긴다는‘자연선택론’을 주장했다.1988년 4월 23일미국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관객이 자신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 공연에 참여할 수 있다.공연의 연출을 맡은
문화
기술대학원 구본철 교수는 “아직 대중에게는 낯설지만 디지털퍼포먼스의 가능성을 여는 단계이므로 새로운 시도로 봐달라”고 주문했다.●● 카포전? 포카전이 있다!매년 가을이면 KAIST와 포스텍 학생들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파헤치거나 교수형을 당한 시신을 훔쳐 해부한 일화로도 유명하다.요즘에는 시신 기증
문화
가 확산돼있지만 필자가 대학을 다니던 15년 전만 해도 카데바 대부분은 무연고자의 시신이었다. 시립병원에 방치된 노숙자의 시신이 일정기간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실습용으로 쓰였다.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40번째 ‘생일’을 맞이하는 해다. 행사장에 들어서면 대한민국 과학기술사와 과학
문화
사 40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둥근벽이 제일 먼저 눈에 띈다. 그동안 과학기술자들이 걸었던 역사를 더듬다보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는 정부출연연구원관에 도착한다.최첨단기술의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년에 우리 나라의 북동지방인 함경북도 웅기(雄基) 근처의 패총(貝塚) 밑에서 구석기시대
문화
층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구석기시대 중에서도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