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천연두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해서 면역력을 키운다 해도 뜻하지 않은 병균으로부터 공격당하는 일이 잦다. 더욱이
막
태어난 아기의 경우 병균에 대한 강한 저항력은 턱없이 약하기 마련이다.현실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있다. 바로 백신이다. 가짜 병균의 등장1981년 세계보건기구(WHO)는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수학자의 논문 '통신의 수학적 이론'에 적용된다.이 결과로 아날로그 통신 시대는
막
을 내렸꼬 디지털 혁명을 가속시켰다.현재 머리카락 굵기의 전선에 6백40만개 이상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 수학자들의 공로란 얘기다.푸리에이론은 많은 용량의 음악을 담는 CD를 탄생시켰을 뿐 아니라 ... ...
만약 화학결합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내려온 자연의 기본적인 원리다. 이 화학결합의 원리는 우주의 초기에 양성자와 전자가
막
생겨났을 때, 그러니까 아직 제일 간단한 수소 원자가 생기기 이전에 이미 물질 세계의 기본 원리로 깊이 각인돼 있었던 것이다. 종이와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이니까 자연의 마음에 새겼다고 해야 할까. ... ...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그러나 수중분만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는 유럽에서는 감염의 위험은 철저한 준비를 통해
막
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단점보다는 위에 열거한 장점이 훨씬 많다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 ‘수중분만’은 역사가 길지 않지만, 계속 권장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제왕절개의 비율이 40%에 ... ...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가깝다. 이것은 바깥쪽의 찬 공기가 안쪽의 따뜻한 공기와 만나 김을 서리게 하는 것을
막
는 1차적인 역할을 한다. 김서림을 방지하는 2차적인 것은 렌즈의 소재다. 대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를 화학적으로 처리해 소재 자체가 친수성기를 갖도록 만든다. 이렇게 만든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수상) 역시 유명한 생물학자이다. 헉슬리는 명문인 이튼 칼리지를 다녔는데, 이때 각
막
염증으로 시력을 많이 잃었다. 옥스퍼드의 발리올 대학을 졸업한 뒤 잡지편집인으로 일하다가 1921년부터 전업 작가 생활을 시작했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을 돌아다니며 살다가 1937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강해 생명체에 큰 위험이 된다. 다행히 지구 표면의 대기권은 이런 해로운 빛을 잘
막
아주고 있다. 빨간색보다 파장이 더 긴 빛은 대기권을 통과해 들어오지만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다. 결국 우리 눈으로 보는 빛은 전체 파장에서 아주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대낮의 하늘이 파랗게 보이거나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정책을 세우고 있다. 기존의 생물학에 싫증을 느낀 많은 수의 젊은 생물학도들이, 이제
막
발견된 아직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신대륙인 생물정보학을 향해 절호의 탈출의 기회로 삼아 대거 이동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정책은 이를 전혀 추천하지도, 부추기지도 않고 있다. 오히려 ... ...
60억 인구의 미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숨가쁘게 달려온 20세기가 어느덧
막
을 내리려 한다. 돌이켜 보면 20세기는 인간이 꿈꿔왔던 많은 상상들을 현실로 이뤄냈다. 하늘을 날고 바닷속을 여행하고. 원자 속의 쿼크가 부리는 조화와 세포핵 속의 DNA가 담고 있는 생명의 비밀도 인간의 호기심 앞에서 그 옷을 벗고 말았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우리도 중국이나 일본과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극지는 마지
막
남은 인류자원의 보고이자 지구환경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자연 실험장이다. 세계 각국에서 너나할 것 없이 엄청난 시간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이유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과학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