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물사정이 좋지않아 마을 공동의 우물을 파서 식수 대책을 마련하곤 했다. 옛 우물에는 그
깊이
에 관계없이 숯이 묻혀있다. 숯을 잘 씻어서 우물의 바닥에 깔고 그 위에 자갈을 올려 놓았다. 우물은 1년에 한번씩 청소를 했는데 청소 때에는 숯을 바꿔줬다.숯을 우물에 깔면 미네랄 덕분에 물맛이 좋은 ... ...
방사성 폐기물의 실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들어 있는 드럼을 넣고 밀봉하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심층 처분은 수십m 이상 땅속
깊이
파든지 산속이나 해저에 동굴을 파서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하는 방식이다. 어느 방법을 택할 것인가는 각 나라의 환경 여건과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프랑스의 라망쉬나 로브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영국의 드릭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제스처를 취해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다.일반적으로 사람이 남에게 자신의 인상을
깊이
심어주기 위해 구사하는 대표적인 제스처는 손짓과 얼굴표정이다. 손짓은 생각보다 많은 의미를 상대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동물행동학자 데즈먼드 모리스에 따르면 사람이 손으로 표현할 수 있는 ... ...
4. 수중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호흡하는 공기는 79%의 질소와 21%의 산소로 구성)때문에 감압병의 위험이 있어 피핀처럼
깊이
잠수할 수 없다.그러므로 일반인들이 즐기는 스쿠버 다이빙에서는 안전을 위해 수심 40m를 절대적인 한계로 하고, 수심 30m를 권장하는 한계 수심으로 정해 놓았다. 특수한 교육을 받은 후에야 그 정도의 ... ...
엘니뇨가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습도, 바람, 강수량과 함께 염분도와 해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일이다. 관측 가능한
깊이
는 5백m. 이 자료는 인공위성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된다.불과 10여년 전만 해도 기상학자는 바다의 표면상태, 해양학자는 대기의 바닥상태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후의 변동을 규명하기 ... ...
뇌파학습기 끼고자면 모두 우등생?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같아요”라고 말했다.많은 사람들이 이 기기를 사용하면 쉽게 잠이 들고, 자고 나면 잠을
깊이
잔 것 같아 피곤이 잘 풀린다고 말하고 있다. 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당시 국가대표양궁팀을 이끌었던 이왕우감독은 “선수들이 주로 잠자기 전에 많이 사용했다. 그걸 끼고 잠자면 피곤이 잘 풀린다고 ... ...
물이야기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1백50만t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열량을 운반한다. 멕시코 만류가 멕시코만을 떠날 때 폭 80km,
깊이
0.6km, 유속이 8km/시로서 시간당 거의 4백㎦의 바닷물을 이동시킨다. 이 4백㎦의 물이 운반하는 열량은 6억t의 석탄 열량과 같다. 세계의 연간 석탄 생산량을 20억 t으로 추정하면 1년 석탄 생산량의 3분의 1에 ... ...
다시 뜨는 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계속 찾고 있다. 남극 부근의 크레이터(운석구덩이)에 떨어진 혜성의 얼음덩어리가 표면
깊이
묻혀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면의 물은 시간이 흐르면 증발해 없어지지만 지하에 묻혀있는 얼음은 오랫동안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크레이터에는 5-6m두께의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 ...
5. 화성 생명체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흐르자 화성의 물은 지하로 스며들었다. 그에 따라 화성식물의 뿌리는 물을 따라 지하로
깊이
뻗어 내려갔다. 또한 대기가 희박해지면서 태양빛이 더욱 강해지자.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잎은 비교적 얇고 넓게 진화했을 뿐 아니라 질겨지게 됐다. 강한 태양 빛에 견뎌내기 위해서 잎의 ... ...
집파리·모기·바퀴벌레의 사생활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한다.오물에서 자라는 파리와 함께 피부를 물어 질병을 옮기는 모기는 사람의 건강과
깊이
관련된 해충이다. 모기는 종류에 따라 말라리아뿐 아니라 황열병이나 뇌염의 원인이 되는 사상충(絲狀蟲)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퀴벌레의 사생활 음습한 곳에 알 투척기어다니는 해충들 중에서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