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성"(으)로 총 6,2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전하는 데는 측정 장비의 역할이 컸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뇌 세포의 시냅스는 각각 20n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런 뇌의 활동을 보기 위해서는 장비가 정밀할수록 유리하다.미국 브라운대 이준희 연구원과 서울대 송윤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광유전학기술을 이용해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 ...
- 암흑물질 발견, 이번에는 진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중심에서 암흑물질의 신호가 확인됐다.암흑물질은 우주의 25%를 구성하는 물질로 그 존재가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네덜란드 레이든대 알렉시 보야르스키 교수팀은 10월 2일 ‘피지컬 리뷰 레터’에 은하수 중심에서 암흑물질 후보 중 하나인 ‘비활성중성미자’가 붕괴될 때 발생하는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노벨상 업적이 기대되는 분야였다. 대표적인 난제가 바로 진동변환이었다. 원자의 핵을 구성하는 핵자 안에는 쿼크라는 입자가 존재한다. 쿼크는 모두 여섯 종류가 있는데, 이들 사이에서는 서로 변환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실험물리학자들은 세 종류의 중성미자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균(Dermabacter, Corynebacterium)과 대변 속 세균(Roseburia)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들을 집안 구성원의 성비를 알아내는 ‘마커’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여성의 생식기에 사는 세균이 거주자 성비를 알려 주는 바이오 마커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어 보이지만 피부에 사는 세균은 언뜻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컴퓨터도 그중 하나였다. 초기 컴퓨터에서 진공관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논리 회로를 구성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역할을 했다.결국 1943년 5월 31일, 미 육군은 존 모클리 교수 연구팀과 계약을 맺고 새로운 컴퓨터를 만들기로 한다. 하지만 새 컴퓨터가 세상에 등장하기도 전에 전쟁은 끝이 ...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류탄 던지는 행동까지 파악ETRI에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는 크게 세 가지 모듈로 구성돼 있다. 자세인식 모듈, 위치인식 모듈, 행동분석 모듈이다. 자세인식 모듈은 카메라와 센서로 무릎, 발목 같은 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자세를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다. 위치인식 모듈은 자세인식 모듈과 전방향 ...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는 전자 회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층, 그리고 예쁜 네일아트 스티커층으로 구성된 아주 작은 터치 스크린을 만든 거예요.이 장치를 손톱에 달고 마치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하듯 손톱을 터치하면 화면을 조종하거나 글자를 입력할 수 있지요. 손톱에 붙였다 뗐다 할 수 있으면서, 가장 위에 ... ...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따져 볼 것들이 많아요. 역에서 가까운지, 물은 잘 나오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가족 구성원 모두가 맘에 드는 곳을 선택하지요. 동물들도 마찬가지예요. 주변에 먹이는 충분한지, 포식자로부터 안전한지 등 새 집을 찾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지요. 특히 꿀벌처럼 무리지어 사는 동물들은 수천에서 수만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질감은 근섬유, 결합조직, 지방조직의 상태에 따라 달라져요. 먼저, 근섬유는 근육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수축하는 성질이 있어요. 하나의 근육은 근섬유 다발로 이루어져 있고, 쫄깃한 고기의 질감은 바로 이 근섬유 다발에서 비롯되지요. 근섬유는 열을 가하면 수분이 빠져 나가며 건조해지고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분야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비결은 화학과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세포가 물질을 적재적소로 운반하는 원리를 밝힌 것도 ‘레비 워크’라는 수학 개념을 알고 있는 연구원 덕분이었다.레비 워크는 프랑스 수학자 폴 레비가 고안한 개념으로, 목표물을 찾아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