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학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수준별 학습의 부족’을 꼽았다. 수학은 한 군데서
구멍
이 나면 그 다음을 배우기 어려워 자꾸 뒤쳐진다. 박 교수는 “중학교부터 자신에게 맞는 수학을 배울 수 있는 여러 길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부모가 교사인 박 교수는 자신도 가르치는 일이 좋아 ... ...
황산보다 100만배 강한 '슈퍼 산' 합성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중의 산’인 셈이다.보통 강산은 부식력도 강하다. 황산을 옷에 떨어뜨리면 그 자리에
구멍
이 뚫리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런데 카보란산은 그렇지 않다. 왜 그럴까.부식력은 수소이온을 내주고 음이온을 띠게 된 분자의 반응성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불화수소산(HF)은 유리병도 녹인다. 유리는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바람에 저항하기 위한 공학적 판단에서 나온 것이다. 이 건물에 바람이 불어오면 거대한
구멍
으로 바람이 쉽게 빠져 나간다.이 건물 바닥은 마름모형으로 되어 있는데 바람이 벽면을 타고 흘러나간다. 또 위로 올라갈수록 산정상처럼 옆 부분이 깎여 있어 바람에 의한 충격을 줄인다.두바이빌딩도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쪼이면 가운데가 떨어져 나가면서 마치 우물처럼 움푹 들어가게 된다.“이렇게 만들어진
구멍
에 자성물질을 넣어주면 하나의 메모리 단위가 됩니다. 길이가 10nm니까 엄청난데이터 집적이 가능해지죠.”정 교수의 설명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밀도 자기기록소자는 현재의 기가비트급(기가는 10억)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불행히도 신경성장인자를 몸 밖에서 주입하면 뇌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한다. 두개골에
구멍
을 내 직접 투여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뇌로 바로 전달되는 작은 분자량의 또다른 신경성장인자도 찾고 있다.최근 미국 국립약물중독연구소(NIDA)는 약물 중독 치료 원칙을 발표했다. 자의든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녹여내자 10㎛ 간격으로
구멍
이 뚫린 단일 결정이 얻어졌다. 만일 먼저 결정을 만들고
구멍
을 뚫는 하향식 방법을 썼다면 이런 형태를 만들기가 대단히 어렵다.연구자들은 “마이크로나 나노패턴의 결정을 만드는데는 상향식 방법이 중요하다”며 “생명체가 나노수준에서 결정화를 조절하는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박물관내 보석관에 들어서자 먼저 눈에 띈 것이 커다란 자수정이었다. 사람 만한 돌 안에
구멍
이 움푹 패여 있고 그 안에 보라빛 결정들이 바위에 달라붙은 조개마냥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주황, 파랑, 녹색, 하양, 옥색 등 다양한 색깔의 광물들이 어떤 것은 뾰족뾰족한 침처럼, 어떤 것은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전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해 컵의 그림이 다시 나타나는 것이다.따라서 바깥의 컵
구멍
을 막고 있던 손가락을 떼 컵 사이의 틈으로 물이 들어오면 수조 속의 빛이 컵 사이의 물까지 도달할 수 있어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가 수조 위쪽에서 컵을 관찰해도 그림을 볼수있는 이유다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중 대맛조개
구멍
을 구별해내는 것부터가 쉽지 않다. ‘써개’라고 불리는 철사꼬챙이를
구멍
속에 집어넣는다. 그러면 대맛조개가 놀라 꼬챙이 끝을 꽉 문다. 이때 기술껏 펄 밖으로 끄집어내야지 안그러면 자칫 놓쳐버리고 만다.지금의 시세로 백합 1kg에 8천-1만2천원이니 백합 15kg면 쌀 한가마다.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향성이 없지만 주파수가 올라가면서 앞뒤로 잘 퍼져 나갔다. 이런 성질은 밑면의 울림
구멍
을 통해 소리가 바닥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가야금의 독특한 구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대금의 경우 가야금과 달리 정면 중심에서 약간 비스듬한 방향(40-60°)으로 소리가 잘 뻗어 나갔다.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