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스페셜
"
해결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언제 유전적으로 분리돼 어떻게 이주했으며, 어디에서 교배가 일어났는지는 아직
해결
되지 않고 있다. -University or Washington 제공 브라우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인류 종이 약 5만년 전 교배가 됐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시베리아에서 발견한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풀리지 않은 물리학 난제”라며 “호킹 복사는 맞고 틀리고를 떠나, 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타진해 물리학계에 근원적이고 거대한 화두를 던졌다”고 말했다. 대중에게 천체물리학을 알린 공로도 빼놓을 수 없다. 1988년 출판한 ‘시간의 역사’는 전 세계에 11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해결
책을 마련함으로써 걱정을 ‘해소’하는 과정을 밟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지 않고
해결
할 수 없거나 또는 비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밑도 끝도 없이 걱정하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적당한 위기감과 적당한 불안은 행동을 촉진하지만 지나친 불안은 이성과 행동을 마비시킨다 (사진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프랑켄슈타인을 만들기 위해 아직도 수많은 수수께끼를 담고 있는 뇌 이식 문제를
해결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를 통해 몸 전체 기관을 통째로 이어붙여 제대로 기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미 발달이 완료된 타인의 기관을 이식하는 차원이 아닌 줄기세포를 원하는 기관으로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
2017.12.30
이성을 남겨놓을 수 있는 능력이니 말이다. 어느 정도 평정심을 되찾을 수 있을 때 문제
해결
도 더 빠를 것이다. 평정심을 잘 유지하는 사람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불행한 상황 속에서도 순간순간 웃으며 기쁨을 거둘 줄 알고, 자신의 삶에는 어떤 큰 목적과 의미가 있다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의 경우 내가 하면 다 할 수 있을 거라며 존재하는 실패 위험이나 문제들을 간과해
해결
해야하는 문제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장기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내곤 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Troy et al., 2013). 하지만 겸손한 사람들의 경우 이렇게 자신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하거나 또는 과대평가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65세 이상이 2015년 654만 명에서 2050년 1881만 명으로 거의 세 배가 된다) 이렇게 해서
해결
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그렇다고 외국에서 피를 들여오자니 비용도 만만치 않고 무엇보다도 미지의 바이러스 감염 같은 위험성이 너무 크다. 또 고령화는 지구촌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라 막상 피를 수입하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드레버의 입장차가 워낙 커 일이 진전되지 않자 연구비를 대는 미국립과학재단(NSF)이
해결
책을 촉구했고 결국 칼텍의 로커스 보트 교수를 초대 소장으로 영입해 1987년 라이고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바이스는 부고에서 드레버가 라이고의 개념을 확립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인정하면서도 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요소임을 간파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일반화해 어른의 과제와는 다른 자신의 과제를
해결
하는데 적용한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메릴랜드대의 루카스 버틀러 교수는 같은 호에 실린 해설에서 “어른과 아이들은 물론 심지어 아기에서조차 끈기는 단순히 유전되는 성격 특성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에게르텔라 렌타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사이언스’에는 이 혼란을
해결
한 논문이 실렸다. 즉 에게르텔라 렌타의 특정 균주(DSM2243이라고 명명)만이 위의 대사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장속에 에게르텔라 렌타가 있더라도 이 효소가 없는 다른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