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스페셜
"
사진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ASFV)의 자연 숙주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혹멧돼지(
사진
)와 강멧돼지, 숲멧돼지와 이들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연진드기다. 이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별다를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위키피디아 제공 자연계 숙주는 증상 없어 ASFV는 사람이나 소는 감염시키지 못하고 돼지 ... ...
'블랙홀 그림자' 관측한 과학자들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올해 노벨상 관전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천체물리학 주제인 중력파 검출을 위한 관측 임무를 주도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사진
은 지난해 7월 학회 참석차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를 방문했을 때의 모습이다. 윤신영 기자 화학에서는 최근 강세인 생화학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올지 관심을 모은다. 2011년대 이후 G단백질(2012년), DNA 수리(201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흉악범은 미디어의 관심을 즐긴다
2019.09.21
데에 뉴스 등 ‘미디어’에의 노출은 필수 관문이다. 뉴스 1면에 커다랗게 자신의 이름과
사진
, 자신이 밝힌 범죄의 이유 등 대중에게 자신과 자신의 메시지를 노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그렇기에 이전 범죄자와 경쟁하듯 피해 수준을 높이려는 시도를 보였다고 한다. 분석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없으니 이
사진
도 조작이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느냐는 게 내 주장이었다. 그분들은 이
사진
을 한 번 검토해 보겠다고 했으나 아마도 새로운 음모론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2300년 전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지금 이 모습을 보았다면 과연 뭐라고 했을까, 방송 녹화하는 내내 그런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 ...
[Q&A]문답풀이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자료표를 Q&A형식으로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위
사진
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사진
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아시아에서 확산되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 상륙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양돈 농가와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아프리카 돼지 콜레라 바이러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가시광선 영역을 포함한 넓은 범위의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밴타블랙의 전자현미경
사진
으로 알루미늄 표면(가운데 노출돼 있다) 위에 수십 마이크로미터 길이의 탄소나노튜브가 빽빽이 심어진 형태다. 앞쪽에 떨어진 탄소나노튜브 덩어리가 꼭 담배 필터를 헤집어놓은 것 같다. ... ...
[팩트체크]"자석으로 통증 고친다?" 효능 의문 효도상품 건강 자석목걸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나와 있지는 않고 실험 결과에 대한 인증서가 나와 있는데 한자로만 돼 있는 데다
사진
이 작고 흐릿해 내용을 알아보긴 어렵다. 게다가 국내에서 따로 실험한 결과는 없었다. 다만 심장박동기 등 배터리를 체내에 삽입한 경우에는 이 제품을 사용하지 말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두 제품은 모두 ... ...
개구리 피부로 5000만명 살렸다…인류 구한 황당한 과학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확인했다. 노엘 로즈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분자미생물학부 교수(첫번째
사진
, 두번째
사진
왼쪽)은 어니스트 위트브스키 교수와 함께 자가면역 질환의 존재를 밝혔다. 노엘 로즈 제공 세포가 자기 조직을 공격할 수 있음을 밝혀내다: 노엘 로즈, 고(故) 어니스트 위트브스키 자가면역질환은 ... ...
[에코리포트] 인도의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9.07
약 2만 7000개, 찍은
사진
은 약 3500만 장에 달합니다. 3500만 장의
사진
중에서 호랑이
사진
만을 골라내는 건 인공지능의 몫입니다. 뿐만 아니라 호랑이의 줄무늬는 사람의 지문처럼 저마다 다른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은 줄무늬의 모양으로 서로 다른 호랑이를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 ...
[독자와 함께 해봤습니다]내 안의 달리기 본능을 깨워라
과학동아
l
2019.09.07
달려보겠다며 전의를 불태웠다. 이들의 달리기가 뇌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비포’
사진
을 찍는 기분으로 기억력과 집중력 테스트를 실시했다. 테스트 문항은 김 교수의 자문을 얻어 제작했다. 달리기가 가져온 의외의 효과 운동 처방을 받고 일주일이 지난 8월 15일, 김 군과 서 양에게 달리기를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