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스페셜
"
능력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와 해양에너지 지혜롭게 개발해서 현명하게 쓰자 1부
KIMST
l
2013.05.03
’는 말도 정답은 아니다. 이전의 울산 태화강이나 안 양천 등이 좋은 예이다. 자정
능력
이상의 유기물이 들어오면 고인 물이든 흐르는 물이든 썩게 마련이다. 바다도 마찬가지 다. 과학적으로 ‘고이면 썩기 쉽다’ 또는 ‘버리면 썩는다’로 바 뀌어야 한다. 바다에서 에너지를 얻자면 무언가 ... ...
“해양이야말로 21세기를 이끌어 갈 동력원
KIMST
l
2013.05.03
상당수가 해양과 관련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자연재해에 대한 예측 및 대비
능력
을 키우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또한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해양이 국민들의 레저 공간으로서 점점 사랑받고 있는 것도 중 요한 일이다. 이에 대비해 해양활동 시에 사고가 나더라도 안전하게 극복할 수 ... ...
"기초과학 연구지원 통해 창조경제 기여할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여성과학기술인을 우대하는 특별한 대접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능력
이나 실력으로 동등하게 평가 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이는 그만큼 국내 과학기술계에서 여성과학자의 입지가 약했다는 의미입니다. 1978년 표준연에서 근무를 시작할 때만 해도 여성 ... ...
생체에 삽입하는 전자신분증, ‘베리칩’이란?
KISTI
l
2013.05.02
유전자 정보, 또는 고유 번호가 저장돼 있다. 이 칩은 무선으로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능력
을 갖고 있어 개인 정보가 저장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순간 개인의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베리칩 하나면 개인의 신분에 관한 신상정보뿐 아니라 계좌 등 금융거래 정보, 유전자와 같은 ... ...
“나노기술 대중화가 나노기술 산업화 성공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우리나라 나노기술 수준은 세계 4위권이고, 산업화로 연결할 수 있는
능력
은 세계 1위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나노는 전통기술과 접목시켜 산업화 시키기 가장 좋은 분야입니다. 그렇지만 결국 나노 기술도 꾸준히 투자를 해야 좋은 성과가 나올 수 있는 겁니다.” 이달 19일 서울 홍릉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우리회사의 연매출은 50억달러(약 6조원)에 달한다. 기초과학 역량이 높기 때문이 아니다. 팔릴만한 아이디어를 발 빠르게 상품화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선 사업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하는 것 같다. 우리는 연구프로젝트가 시작되면 3개월 주기로 타당성을 조사해 계속 여부를 결정한다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주부도 있어요. 과학계 살림도 가정과 다르지 않을 겁니다. 한정된 예산으로 연구원들의
능력
을 배가시켜 얼마나 발전시킬 수 있느냐는 리더가 조직을 어떻게 끌고 나가느냐에 달려 있겠죠.” 정 의원은 과학자들에게 물론 연구가 가장 중요하지만 이제는 비즈니스 마인드도 필요한 시대라고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커다란 장애를 만날 수 있다. 즉, 중소캐피탈 리스트로서의
능력
만 있으면 제반 경영자 서비스의 제공자들 및 자금의 제공자들과 합작하여 회사를 자유롭게 만들어 투자 할 수 있는 기반(분위기)을 조성하는 것이 중소캐피탈 시장 활성화의 첩경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자본금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학회장이 이를 위한 방안으로 꼽은 것은 정부의 조정
능력
. 그는 "광범위한 바이오산업의 응용분야 중에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꼽아야 한다"며 "좋든 싫든 1위를 찾아내서 그 부분에 집중 투자해야 세계 1위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좌담회에는 각계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창의성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와 단기적 성과평가 관행을 개선하자. ○ 비즈니스
능력
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 ○ 톱다운 방식의 중장기 대형집단연구사업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텀업 연구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유명희 단장은 1972~1976 서울대 미생물학 학사 1977~1981 미국 버클리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