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뉴스
"
탐사
"(으)로 총 2,92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지원하기 위해 달에 대해 배우려는 NASA의 노력에 기여한다”며 “NASA는 2030년 화성
탐사
에 대비하기 위해 2024년 최초의 여성과 다음 남성을 달 표면에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 ...
스페이스X 12년만에 100회 발사 성공한…로켓 기술 혁신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개발과 발사를 비롯해 팰컨9 재활용,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화물을 보내는 드래건, 화성
탐사
를 위한 팰컨 헤비와 스타쉽 등 굵직한 이정표를 달성했다. 2008년 9월 팰컨1 첫 발사 팰컨1이 발사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스페이스X가 최초로 개발한 우주발사체는 ‘팰컨1’이다. 지구 저궤도까지 약 ... ...
[오늘의 뉴스픽] 꿈조차 꾸기 어려운 국감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통해 대리 충족하는데도 지쳐갑니다. 한국에도 미국과 일본 과학자들처럼 소행성
탐사
를 꿈꾸고 준비하는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초소형 위성을 만들고, 로켓 엔진을 만드는 청년들도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그 열정이 실현되길 바라는 납세자들을 위해서라도 '이제 제발 좀'. ... ...
'오시리스-렉스' 3억km 밖 소행성 베누 '터치다운' 표본 채취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우주선의 팔을 확장한 다음 우주선을 천천히 회전시키면 팔의 무게가 달라진 만큼
탐사
선의 회전 관성도 달라진다. 이를 측정하면 채취한 표본의 양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목표량을 채집하지 못했다면 오시리스-렉스는 내년 1월 12일 베누 적도 근처에 비교적 바위가 없는 ‘오스프레이’로 이름 ... ...
[영상]NASA
탐사
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베누 암석 샘플 채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오시리스-렉스는 이번 임무를 모두 자동으로 수행한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행성
탐사
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베누' 암석 표본을 채집 생중계영상 ■ 생중계 시각 : 10월 21일 오전 7시12분 분경 (한국시간) ■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A6K2dqCoin8 ... ...
[2020 국감] '직원에 폭력·달
탐사
지연' 항우연에 쏟아진 질타
연합뉴스
l
2020.10.20
보수적인 친구들이 그 같은 소문을 악의적으로 퍼뜨리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달
탐사
사업 지연으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2022년 8월 달 궤도선 발사를 목표로 열심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NASA
탐사
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된다. 소행성 표본 채집에 성공한
탐사
선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소행성
탐사
선 하야부사1과 하야부사2 둘 뿐이다. 하야부사1은 2005년 소행성 ‘이토카와’에 접근해 표본을 채취하고 2010년 60억 km를 비행한 후 귀환했다. 하야부사2도 2018년 오시리스-렉스와 같은 방식으로 소행성 ... ...
美·中 2024년 달 남극서 붙는다…中, '창어 7호' 발사 계획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2023년 발사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창어 5호가 성공할 경우 창어 6호는 날 남극
탐사
에 투입된다. 중국은 2024년 창어 7호 발사 이후 2020년대 말까지 창어 8호 발사 등 향후 계획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언론은 창어 8호가 3D 프린팅 기술 시험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 ...
노키아, 달 최초 통신사업자 되나…NASA 4G 통신망 파트너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모듈”이라며 “앞으로 달에 갈 우주비행사는 4G 통신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탐사
선을 제어하고, 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SA는 4G 통신망을 구축한 뒤에는 5세대(5G) 통신망을 구축할 계획도 갖고 있다. 5G는 초고주파 대역을 활용해 4G보다 파장의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여겨지며 우주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암흑에너지의 정체 규명을 위한
탐사
관측 해석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HR5 연구팀은 한 변이 약 34억광년인 가상 우주 공간 내 은하 분포로부터 암흑에너지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정보 중 하나인 ‘바리온 물질 요동의 흔적(BAO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