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뉴스
"
액체
"(으)로 총 1,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폭발 위험 없는 배터리 나온다
2015.12.29
못하면서 전지의 성능도 잘 나오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체
상태로 녹여 다른 물질에 코팅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 주석(Sn) 기반의 화합물을 메탄올 용액에 녹인 뒤 요오드화리튬(LiI)를 첨가한 것이다. 이 전해질은 용액에 잘 녹는 주석 기반 화합물의 특성과 ... ...
머지 않아 ‘마그네슘 비행기’ 나온다고 전해라~
2015.12.28
입자를 100㎚ 이하의 크기로 작게 분쇄한 뒤 마그네슘 용융액에 첨가했다. 유동성이 큰
액체
상태에서 나노 입자를 추가하자 입자들이 움직이며 균일하게 분산돼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개발된 복합재료는 세라믹 14%와 마그네슘 85%로 이뤄졌으며, 무게 대비 강도(stifness-to-weight ratio ... ...
[책의 향기]인간을 위로하는 마법의
액체
… 술을 해독하다
동아일보
l
2015.12.26
[동아일보] ◇프루프 술의 과학/아담 로저스 지음·강석기 옮김/336쪽·1만5000원·MID 한때 취재원들과 술을 자주 마신 적이 있다. 그때 술에 대한 심리가 ‘스톡홀름 신드롬’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평소 술에 약한 체질이라 다음 날이면 남들보다 더 고약한 숙취에 시달렸다. 급기야 건강검진 때 ... ...
[한파, 무섭지 않아요 ② : 보온력 측정의 비밀] 인간 대신할 ‘서멀마네킹’이라 전해라~
2015.12.16
- 염재윤 기자 dsjy@donga.com 실험용 챔버(Chamber) 안으로 영화 ‘터미네이터’의
액체
금속 로봇 ‘T-1000’을 연상케 하는 회색 빛 실루엣이 보인다. 조심스럽게 표면을 만지자 사람 체온만큼 따뜻하고 매끈하다. 키 175㎝의 균형 잡힌 몸매를 가진 이 마네킹은 각종 의류의 보온력과 흡습성을 측정하는 ... ...
‘나노’ 세계의 물에도 ‘난류’ 존재한다
2015.12.10
것이 가장 큰 성과”라며 “생물, 화학 등 다양한 분야의 나노 규모의 마찰 현상에서
액체
의 역할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 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이 규명한 나노 크기 물 분자층의 '난류' 모식도. 일정 속도(초속 1㎜) ... ...
무거운 배터리 안녕, 종이 한 장이면 충분
2015.12.09
제스퍼 에드버그 박사과정 연구원은 “헝클어진 코팅 섬유 사이의 빈 공간에 든
액체
가 전해질 역할을 한다”며 “종이 배터리는 위험한 화학물질이나 중금속을 쓰지 않고 간단한 재료로 만들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버그렌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종이 배터리 소재는 전기가 잘 ... ...
플라스틱 첨가물 ‘HBCD’, 난연제로는 좋지만…
2015.12.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인증표준물질을 분석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플라스틱 속 유해물질의 양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기준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백송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분석표준센터 선임연구원은 ... ...
[R&D 혁신 현장을 가다 ①] BMW, 포드가 국가 연구소 찾는 이유
2015.11.20
떠서 움직이는 스케이트보드인 ‘호버보드(Hoverboard)’를 개발했다. 호버보드 밑에
액체
질소를 넣어 초전도물질을 영하 197도로 유지시키고 영구자석을 붙여 공중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만들었다. 헤네케 소장은 “1987년 고온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과학자들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후 ... ...
구멍 ‘송송’ 뚫린 新
액체
개발
2015.11.15
사실을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제임스 교수는 “다공성
액체
는 튜브를 이용한 공정이나 표면을 얇게 코팅하는 공정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보다 사용범위가 넓다”며 “추가 연구를 진행하면 기존엔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화학공정이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찾았다
2015.11.12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지구 크기의 행성이기도 하다. 생존권역은 별을 중심으로 물이
액체
로 존재할 수 있는 온도(0~100°C)의 구역으로, 이 구역의 행성은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케플러-186f는 지구에서는 490광년 거리에 있다. NASA가 가장 최근에 발견한 지구형 행성은 7월 발표한 ‘케플러-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