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통"(으)로 총 2,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30년간 정설 뒤엎은 새로운 “세포간 소통 과정’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9.07.17
- 김진우 KAIST 교수팀이 제시한 호메오 단백질의 세포간 이동 모델. 친수성인 호메오 단백질은 소수성을 띠는 아미노산 잔기를 이용해 소수성인 세포막을 뚫고 세포 밖으로 나간다. 이후 다른 세포로 다가가 표면에 나 있는 프로테오글리칸 사슬과 결합해 그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 세포 내에서 호메 ... ...
- [KSF2019] 우주에서 병해충 없는 푸른 지구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9.07.14
- 제시한다. 캔위성을 비롯한 시제품 전시도 한다. 이 공동대표는 “다른 팀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인 아이템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석 공동대표(왼쪽)와 서바다 공동대표가 드론을 통해 콩돌 스페이스 로보틱스가 제작한 캔위성을 시험하고 있다. ... ...
- [프리미엄리포트] 특수문자·그림에서 시작해 AR로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07.13
- 의도를 정확히 알기가 힘든 스마트 기기에서는 이모지가 얼굴 표정처럼 비언어적 의사 소통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 "누구든 자신을 이모지로 표현할 수 있다" - 삼성전자의 개발자와 디자이너 왼쪽부터 임진호, 최민석(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실), 이민경(삼성전자 무선사업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2019.07.13
-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 한빛1호기 수동정지사건 민간합동대책위원회 출범동아사이언스 l2019.07.11
- 민간합동대책위원회는 지난 5월 한빛 1호기가 수동정지한 사건과 관련해 지역주민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의 의견을 수렴하고 투명한 조사와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위한 목적으로 꾸려졌다. 영광 및 전북 고창 주민대표 7명과 원안위 3명,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2명으로 구성됐다. 주민이 추천한 ... ...
- [과학게시판] KISTI, 中 성도룡능과기유한공사에 기술이전 外동아사이언스 l2019.07.09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9일 중국기업 성도룡능과기유한공사와 중국 기술시장 환경 맞춤형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 “2014년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하며 지역상생과 지역민과 함께하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소통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 "혁신성과 있었다"vs"목표 없고 혼란은 외면"…文정부2년 과학기술 엇갈린 평가 동아사이언스 l2019.07.05
- 나온 지적이다. 이번 토론회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전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소통이 여는 미래’를 주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 관리자들과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500여 명이 ... ...
- ‘과학의 미학’ 주제 대학생 학술대회 이달 말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2019.07.04
- 개 대학 소속 학생 3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올해로 15회째를 맞고 있으며 대학생들 간의 소통 및 토론의 장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과학의 미학: 표현’이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유재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조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부 ... ...
- 한의학硏, 한의학 R&D 데이터 관리·공유 시스템 구축동아사이언스 l2019.07.03
- “KMDR 구축을 통해 데이터 생태계 중심의 R&D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소통∙협업할 수 있는 연구환경이 조성됐다”며 “향후 KMDR이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지원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