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이미지와 자연어를 연결 짓는 새로운 딥러닝의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구분하는 알고리즘에 인삼을 추가하고 싶을 때 인삼 이미지를 모아서 다시 학습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가공된 이미지와 텍스트 데이터로 학습을 거쳤기 때문입니다.CLIP을 이용하면 학습 없이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예측하는 ‘제로 샷 러닝(zero shot learning)’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식물은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특히 최근에는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를 조절할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 때문이다. 우 교수는 “최근 기후변화는 각종 작물의 재배한계선을 북상시키는 등 식물생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식물에서는 생장하며 열매를 맺고 성숙시키는 과정을 ... ...
- 우정도 계산할 수 있나요? 친구 고민 상담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두근두근 2학기가 시작됐어! 친구들을 만날 생각에 설레설레 너무 설레~. 근데 이게 무슨 일이지? 어수동 초등학교에 다니는 시유, 준하, 호영은 살짝 걱정스러운 표정이야. 알 ... 대하는 나의 자세는?Part2. 내 절친은 누구일까?Part3. 친구 쉽게 사귀는 법을 알려줘!Part4. 친구가 꼭 필요할까 ... ...
- 호영이의 고민 │ 친구가 꼭 필요할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모든 인간에게는 의지할 수 있고 나를 기쁘게 만들어 줄 사람이 필요하거든요. 친구가 몇 명인지는 중요치 않아요. 그런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돼요. 어수동 친구들이 ‘건강한 우정’을 다지길 바라요. 물론 코로나19 때문에 친구를 사귀는 게 쉽지는 않아요. 하지만 SNS, ... ...
- [가상 인터뷰] 스트레스를 받으면 머리카락이 빠지는 진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Q 자기소개를 부탁해.A 안녕, 난 모낭이야. 우리 몸에 나는 털을 만드는 조직이지. 모낭은 세 단계의 성장주기를 가지고 있어. 성장기는 모발이 만들어지고 자라는 시기야. ... 사람의 모발 성장과 호르몬은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적용하기 위해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어 ... ...
- [가상 인터뷰] 1급 멸종위기종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습성을 알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과 자연 상태에서의 산란 행동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어. Q 또 다른 물고기들이 어떻게 산란 행동을 하는지 아니?A 물고기들은 알이 다른 생물에게 먹히지 않고 자랄 수 있도록 종마다 다양한 산란 방법을 갖고 있어. 멸종위기 2급인 큰줄납자루는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필요해요. 각 종의 습성에 맞는 바닥이나 구조물이 있나요? 아니다각 동물 종에게 필요한 풍부화 구조물은 저마다 달라요. 조사한 종에게 맞는 풍부화 구조물이 모두 있나요? 그렇다마실 물이 깨끗하고 충분하게 제공되고 있나요? 아니다 대원 한마디 먹이를 주는 체험을 하기 전후에 ... ...
- [디지털 리터러시] 무료 미디어 서비스, 실은 공짜가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무조건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어떤 서비스인지 판단하고 분별하며, 절제할 필요가 있어요. 어떤 미디어 서비스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자동으로 결제가 되도록 바뀌거나, 부적절한 소비를 습관적으로 하도록 유인하기도 하거든요. 또, 개인 정보 관리를 허술하게 해 민감한 정보가 ... ...
- [수학뉴스] 피타고라스보다 1200년 앞선 삼각법 흔적 나왔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직각삼각형들로 연결된 구조가 새겨졌고, 다른 면에는 분할한 토지를 매각하는 데 필요한 법과 세부 측량내용이 쐐기 형태로 표기하는 설형문자로 쓰여있었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평행사변형 꼴의 전체 토지를 직사각형과 직각삼각형으로 나눈 것에 주목했고, 이중 직각삼각형의 길이가 (8, 15, 17), ... ...
- [특집] 가볍게 들고다니며 시간을 알아보자. 혼개통헌의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별을 조준할 때 사용하는 ‘규형’과 그 별의 고도를 측정하는 ‘정시척’이라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유금이 혼개통헌의와 더불어 두 도구도 함께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남아 있지 않죠. 혼개통헌의로 어떻게 시간을 측정했을까요? 먼저 규형으로 특정 별의 위치를 파악하고,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