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앙"(으)로 총 2,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 색깔 연출하는 화청소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잎 복판의 중앙 잎맥을 잘라 놓으면 포도당의 이동통로가 끊어진다. 따라서 잘라진 중앙잎맥을 중심으로 윗부분에 생성된 포도당은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잎의 윗부분에 쌓이게 된다. 안토시아닌의 경우 색소화합물 구조 내에 당분자(포도당이나 갈락토오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동하지 못해 ... ...
- 소비자와 직접만나는 델컴퓨터과학동아 l2000년 04호
- Top)는 여전히 변함없다.성장 비결은 역시 다이렉트판매방식. 고객이 인터넷이나 전화로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디스크드라이브, 모니터 등을 원하는 사양대로 주문하면 1주일 내에 제품이 집이나 사무실로 배달된다. 고객이 주문한 제품은 아시아의 경우 말레이지아 페낭, 미주지역은 미국 오스틴, ... ...
-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있다.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발달하면서 눈이 적었던 동부지역에도 한파와 폭설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그러나 중앙아시아 블로킹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동유럽과 미국 동부지역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한파와 폭설의 강도가 약했던 이유는 한반도 주변을 비롯한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에 형성돼 있는 고수온대가 있었기 ...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보호했을까. 한가지 가능성은 익룡 역시 털을 가졌을지 모른다는 점이다. 놀랍게도 중앙 아시아 카자흐스탄의 후기 쥐라기 지층에서 발견된 익룡 소르데스(Sordes)의 몸은 털로 덮여있었다.그렇다면 익룡은 날개를 퍼덕이며 새처럼 날았을까? 아니면 단순히 활공만 할 수 있는 불완전한 비행을 했을까? ... ...
- 지구는 얼마나 클까?과학동아 l2000년 02호
- 한다.두 사람이 각각 살고 있는 곳에서 막대를 지면에 정확히 수직으로 세우자. 막대 중앙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긋고 추를 매단 실의 끝을 직선의 끝에 매달아 실과 직선이 일치하도록 막대를 세우면 된다.맑은 날 정오가 되면 막대 그림자의 길이를 정확하게 재자.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에서의 ... ...
- 도메인 네임을 잡아라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전문대학 이상의 대학/대학원 (Academic Institutions)■co: 기업/기업부설연구소 (Companies)■go: 중앙정부기관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or: 비영리기관/단체 (Nonprofit Organizations)■re: 정부 출연연구소 (Research Organizations)■ne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과학동아 l2000년 02호
- 3개가 더 있는데 대기가 매우 안정된 날에 20cm 급 망원경으로 겨우 볼 수 있다. 달의 중앙 가까이 내려오면 폭풍의 바다 속에서 가장 유명한 크레이터의 하나인 코페르니쿠스가 보인다. 지름 90km로 여러 겹의 층이 진 벽들과 중심에 있는 세 개의 산들이 장엄한 광경을 연출한다.한편 남부고지는 ...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과학동아 l2000년 02호
- 96년 발견된 시노사우롭테릭스(Sinosauropteryx)의 가장 큰 특징은 머리에서 꼬리 끝까지 등의 중앙부에 발달된 털처럼 생긴 구조다. 목 부분에는 마지막 식사로 여겨지는 도마뱀이 함께 화석화됐으며, 몸 속에 두개의 알이 있어 한눈에 암컷임을 알 수 있다. 전체 크기는 약 1m 정도이며, 꼬리가 몸의 절반 ...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과학동아 l2000년 01호
- 7년 9월 16일 추석 밤의 월식 이래, 2년 10개월만에 보이는 이번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의 중앙을 통과하며, 1시간 47분 동안 개기식이 계속되는 최상의 조건이다. 이때 달은 남쪽 하늘 궁수자리와 염소자리 사이에 있는데, 시골에서는 개기식 중에 달의 서쪽에 있는 은하수와 북쪽 지평선에 걸린 ...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숫자를 매긴다. 마지막에 좌우의 사각진은 대칭변환한다. 초보적인 원리에서는 중앙 사각진에 인접한 외부 사각진의 개수가 홀수/짝수에 따라 다른 풀이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지원씨는 홀수/짝수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일반원리도 발견해냈다. 이는 독자들의 탐구를 위해 남겨두기로 한다.3.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