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용할 수 있답니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시드니 피어스 교수는 “서로 다른 종 사이에서 유전자를 교환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라고 말했답니다 ... ...
- 만신창이 황다랑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치어들은 가다랑어 포획량에 들어가면 안 되기 때문에 죽은채로 다시 버려져요. 다랑어 종류마다 잡을 수 있는 양이 국제 협약으로 정해져 있거든요. 이렇게 버려지는 참치의 양은 매년 참치 통조림 10억 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랍니다.참치를 안 먹을 수도 없고…. 방법이 없을까? 이대로 가다가는 ... ...
-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971년 발굴된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무려 63종의 고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신승동국여지승람과 같은 고서에도 울산 앞바다는 경해(鯨海), 즉 ‘고래바다’로 표기돼 있다. 예부터 우리나라 바다가 고래가 많기로 유명했다는 뜻이다. 그런 한국이 요즘은 ‘고래무덤’으로 불리고 있다. 고래 불법 ...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종 안에서만 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모자이크처럼 여러 종류의 나무를 번갈아 심으면, 병충해가 숲 전체로 퍼져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 속도도 줄일 수 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식물과학과 윌프레드 오텐 교수팀은 벼나 옥수수에서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키는 ...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받았다. 수학으로 예측하는 곰팡이 번식현재까지 발견된 곰팡이는 약 6만 9000여 종이다. 페니실린과 같은 의약품부터 맛있는 치즈까지 만들어 주는 곰팡이는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최근에는 수학자도 생물학자나 세균학자와 함께 곰팡이 연구를 한다. 최대한 적은 양으로 사람에게 더 큰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못 느낀다는,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이었다. 당연히 처음에는 아무도 안 믿었는데, 하루 종일 몸을 흐느적거리며 주장하니 하나둘씩 믿게 됐다. ‘진실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믿는’ 그 친구는 지금 꽤 유명한 화가가 돼 있다.창의성 높은 학생이 규칙에서 쉽게 벗어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거짓 행동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을지 파고들었다. 번은 조수인 나디아 코프와 함께 18종의 영장류(하등영장류 3종, 신세계원숭이 4종, 구세계원숭이 7종, 유인원 4종)를 조사했다. 그 결과는 신피질 크기가 클수록 거짓 행동도 많았다. 신피질이 비교적 작은 갈라고원숭이와 여우원숭이는 가장 덜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우선꽃이 피는 시기를 미리 아는 건 중요하다. 개화 정보는 축제 준비 외에도 농업, 종 다양성, 생태, 자연자원 관리, 교육, 원예, 보건, 환경 홍보, 여행, 레저, 스포츠 등 다방면에 이용된다. 가령, 배나 복숭아, 사과 등 주요 과수의 개화기를 추정하면 과수농가가 1년 재배 계획을 세우거나 늦서리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 시기에 왜 초기 호모 속이 갑자기 등장했는지도 밝혔다. 지층에서 발견되는 동물의 종이 급격히 바뀌었다. 원래 이 지역에는 사슴류, 코뿔소류 등이 살았는데, 대부분이 10만~20만 년 사이에 급격히 사라지고 악어나 영장류, 기린 등이 새로 나타났다. 이들은 오늘날 세렝게티 등에서 볼 수 있는,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일종이라는 것을 알아내 지난해 발표했지요. 미끈망둑은 전세계에 17종, 우리나라에서는 7종이 서식하는 물고기예요. 다만 호수에서 발견한 미끈망둑은 그 어떤 물고기 하고도 생김새가 달랐어요. 머리가 크고 피부 색이 옅었고, 눈이 퇴화돼 매우 작았거든요.연구진은 약 6000년 전에 빙하기가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