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록달록 아름다운 머릿속 실타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제니퍼브라운연구소 과학자들은 MRI(자기공명영상장치)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뇌세포의 영상에 색깔을 입혀 예술작품을 만들었어요. 사진은 70대 노인의 뇌를 MRI로 촬영해 만든 사진이에요.그들은 뇌세포를 관찰하다가 영감을 얻었대요. 1000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와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주는 기능이 있는 전자펜도 있어. 종이에 쓴 글을 바로 디지털 텍스트로 바꿔 준다면 전자 문서로 다시 정리하지 않아도 되어 정말 편하지. 장애로 말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글을 바로 음성으로 들려주는 기능은 사람들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게 할 거야. 어때? 디지털 펜, 정말 놀랍고 신기하지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라플라스 변환이란 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기 쉬운 함수로 변환해 주는 방법이다.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뤄져 있으며 맥스웰 방정식★을 통해서 해를 구할 수 있는데, 푸는 방법이 매우 어렵고 적용하는 것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건으로 단순화시켜서 적용하고 있다.5G ...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데 급급했다. 자신에 대해 너그러워질 기회를 가진 참가자들은 책임을 인정하고 전자에 비해 부정적 정서를 덜 느꼈다.이들은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는 만큼 단점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도 더 강했다. 예컨대 성적이 낮게 나왔을 경우 자존감을 높이는 대응을 한 사람은 ‘내가 못한 게 아니라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두 개를 달 계획이다. 이온 추진 로켓도 장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한 뒤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내뿜는 이온엔진은 연료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를 3500kg이나 쓰는데, 이온로켓은 54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마음에 잠깐 졸다 일어났는데, 세상에! 맥케이 박사님이 내 몸을 두 조각 내서 초고배율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 보고 있지 뭐야~. 한참 보더니 깜짝 놀라더라고! 그리고 1996년 8월, 온 세상의 눈과 귀가 나를 향하고 있었어. 적막한 우주에서 온 촌뜨기인 내가 갑자기 ‘월드스타’가 됐으니, 참 ... ...
- 몇 초 동안만 다이아몬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머리카락 두께보다도 훨씬 작아 전자현미경으로밖에 볼 수 없답니다.연구팀은 석탄에 전자빔을 쏘아 약 2500℃ 정도 뜨거운 열과 엄청난 압력을 가하면, 탄소원자와 수소원자가 결합하면서 나노 다이아몬드가 되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하지만 약 30초가 지나면 다시 석탄으로 돌아왔답니다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실험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넣어준다. 토카막 안으로 전자기파를 걸어주면 마치 전자레인지처럼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빠르게 가속시킨 중성입자를 안에 쏴 넣어 플라스마와 충돌시키는 방식도 있다. 김영철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망치로 벽을 때리면 열이 나는 것처럼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리 눈에 보이는 색깔을 가진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 전파같은 다양한 전자기파가 들어 있다.목성과 토성에서도 보이는 오로라오로라를 우주에서 보면 어떻게 보일까. 지상에서 300~400km 고도를 날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보내온 사진을 보면 실마리가 될 듯하다. 아래서 위를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서로 만날 기회를 높이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이 아이디어는 레이저나 고에너지 전자빔 또는 이온빔을 사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관성가둠(116쪽) 방식과, 자기장을 사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자장가둠(118 및 120쪽) 개념으로 각각 발전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들 방식은 지금도 핵융합을 실현시킬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