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가동한다. 유비퀴틴은 분자량이 8.6kDa(킬로달톤·1달톤은 수소 원자 1개 질량) 수준인 작은 단백질인데, 분해시켜야 할 단백질에 가서 꼬리표처럼 붙는다. 그러면 이 꼬리표를 인식하는 프로테아좀이 정크 단백질을 재빨리 인식해 분해한다. 이 교수는 “인간의 생체 시스템은 우선 정크 단백질을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운동(밀물과 썰물)에 의해 미치는 힘의 변화량과 비슷한 수준이죠. 물을 주입하면서 생긴 작은 지진들이 진원 근처에 준 수압 변화는 2만~15만Pa 정도이니 최소 수십 배 큰 것이지요. Q앞으로 더 밝혀야 할 점이 있나요?사실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엄청 많아요. 이번에 발표된 연구 결과는 포항 ...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소속 우주인 닐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디뎠다. 그는 “한 인간으로서는 작은 발자국이지만 인류 전체에는 위대한 도약”이란 말로 감격을 대신했다. 이 말이 그가 우주에 가기 전부터 생각한 ‘준비된 멘트’인지, 갑자기 떠오른 센스 넘치는 말인지를 두고 몇 해 전 논란이 있기는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물질들은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 10km에 이르는 미행성으로 자라났고, 미행성들은 다시 작은 천체를 빨아들이며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cm 정도씩 지름이 커졌다. 수없는 미행성들의 충돌 끝에 몇몇 미행성들이 지름 3500km(현재 달의 크기)를 넘어서면서 원시행성으로 진화했다. 이 과정에서 수성과 ... ...
- 아폴로 1호, 비운의 우주비행사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사망했다. 발화 원인은 전원 공급 시 발생한 스파크였다. 일반적으로는 스파크 정도의 작은 불꽃이 화재로 이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당시 선내는 고압의 산소로 가득 찬 상황이었다. 공기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소를 최소화했기 때문이다. 미약한 불꽃은 방대한 산소를 만나 금세 큰 불길이 ... ...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그대로 재현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와 유사한 환경에서 원자보다 작은 기본입자들의 정체가 밝혀졌다. 이렇게 과학자들은 현재의 우주에서 시간을 단계적으로 되돌려 우주의 과거를 재현해왔다. 빅뱅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온도를 ... ...
- 질서┃우주의 현재···우리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재료로 2세대 별들이 탄생했다.우주의 온도 하락과 무거운 원소들의 등장으로 질량이 작은 별들이 만들어졌다. 더불어 핵융합을 돕는 탄소, 질소, 산소가 있어 수소 핵융합도 수월해졌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2세대 별들은 수십억 년 동안 타올랐고, 길게는 100억 년 이상 유지되고 있다. 오래된 2세대 ... ...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별들을 관측하며, 태양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사라질지 추정해왔다.태양은 질량이 작은 3세대 별인 덕분에 수명이 길다. 46억 년 전에 탄생했으나, 그보다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우주에 존재해 있을 것이다. 물론 그때까지 지구에 생명체가 존속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태양은 가지고 있던 수소를 ... ...
- 후보5. 실시간 계산 능력은 정어리가 최고!수학동아 l2019년 07호
- 터전을 옮기거나 먹이를 찾을 때 그리고 적과 싸울 때도 무리를 지어 행동하죠. 몸집이 작은 우리 정어리도 무리를 지어 상어처럼 큰 물고기가 위협할 때 거대한 하나의 물고기처럼 행동합니다. 그런데 다른 동물들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사자의 경우 숫사자 한 마리가 리더의 행동을 쫓아 ... ...
- [수학미술관]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수학동아 l2019년 07호
- 현대 기술에도 쓰입니다. 모두 삼원색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어 인쇄물을 자세히 보면 작은 점들의 집합으로 나타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얼마나 조밀하게 만드느냐가 해상도를 높이는 관건이지요. 피트 모드리안 쇠라가 점을 이용해 그림을 그렸다면, 선과 면을 이용해서 그림을 그린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