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급격히 성장했고, 국제 사회에서의 영향력도 늘었다. 우주 개발에서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는 1990년대만 해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다. 1992년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 1999년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 발사가 1990년대에 이룬 한국 우주 개발 성과의 전부였다.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지표를 국민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감 점수를 합산해 국민의 행복도를 조사한다. 2016년 우리나라는 157개국 중 58위로 OECD 국가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아울러 청소년들의 행복도에 대한 측정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몇몇 영역에서는 OECD 국가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문득 이곳이 거대한 도서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첫 부재 수장고그동안 우리나라에는 전통 건축 부재를 보존할 수 있는 장소가 없었다. 그나마 숭례문 화재를 계기로 2012년 처음으로 계획된 것이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미 다 쓴 부재보다는 복원된 문화재에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묘지예요. 괴팅겐 남동쪽에 있는 헬텐함 공원에 있어요. 공원에 묘지가 있다는 게 우리나라와는 다른 풍경이라 신기하지요? 가우스의 묘지를 보니 절로 숙연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가우스의 발자취를 따라간 괴팅겐 탐방은 이렇게 끝이 났어요. 수학의 성지 괴팅겐에서 수학을 공부하면 뭔가 색다른 ... ...
- Intro. 포항에서 서울까지 흔들~! 지진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친구들도 지진을 느꼈다고 메시지를 보내올 정도로 이번 지진은 강력했어. 그래서인지 우리나라에서 또 지진이 날까 봐 정말 걱정돼. 하지만 걱정만 해서는 지진에 제대로 대비할 수 없는 법! 지진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포항에서 서울까지 ...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실제로 미국, 일본, 멕시코는 1990년대부터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현재 200여 개의 지진 관측소를 2020년까지 314개로 늘려서 지진 경보 시스템을 보완할 예정이랍니다. 스마트폰이 지진을 감지한다?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지진을 빠르게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적정기술 등에 대한 강연을 듣고 서울대학교 빗물연구소 현장 탐방도 다녀왔어요.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에 평균 280리터(L)의 물을 사용한다고 해서 놀랐어요. 토론하기 전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답니다. 저는 ‘물순환 위원회’에서 필리핀 대표단을 맡았어요. 필리핀은 기후변화로 인해 ... ...
-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건물이 무너지면 많은 사망자와 부상자가 생기기 때문에 지진 피해가 커진답니다. 우리나라는 6층 이상의 건물을 지을 때 반드시 지진에 버티는 ‘내진설계’를 하도록 1988년에 법으로 정했어요. 하지만 이전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의 경우,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지요. 이번 포항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매미 12종을 찾기 위해 한 해 동안 전국을 누볐던 이야기를 들려 줬어요. “올해 초, 우리나라에 사는 매미 12종을 모두 관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어요. 그리고 전국 방방곡곡을 바쁘게 다닌 끝에 결국 목표를 이뤘지요. 강원도 평창에서 72시간을 기다려서 세모배매미를 발견한 일 등 잊지 못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졸업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반대로 동남아시아에 극심한 장마를, 남미에 가뭄을, 북미에 강추위 등을 일으켜요. 우리나라도 라니냐가 발생한 해에는 평소보다 춥고 건조한 겨울이 시작되지요. 엘니뇨는 크리스마스 전후로 발생해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남자 아이)’란 이름을 갖게 됐어요. 반대로 라니냐는 ‘여자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