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닮았다고 해서 ‘말머리 성운’이라는 이름을 붙은 아주 멋진 성운을 볼 수 있어요. 사진 중앙에 있는 밝은 별 아래에서 말머리 모양의 검은색 성운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샛별, 태백성의 다른 이름은? 태양계에는 지구를 포함해 모두 8개의 행성이 있어요. 그중 지구와 크기가 비슷하고 거리가 ... ...
-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우주에서 한반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 떠오른다. 2월 19일(한국시간)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는 적도 상공 약 3만6000km 고도에 올라가 한반도를 내려다보며 한반도 주변의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구조를 새겨 ‘구조색(structural color)’이라고 부르는 현상을 구현했기 때문이죠(아래 사진). 구조색은 말 그대로 물체의 표면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색깔입니다. 공작의 날개, 딱정벌레의 껍질에서 볼 수 있는 총천연색이 대표적입니다. 구조색은 빛의 간섭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화학적 원리가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무덤을 이루는 돌의 크기와 모양, 무덤의 작업 방식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있다. 3D 사진을 보면 매장주체부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단단한 돌로 이뤄져 있고, 왼쪽은 부드러운 흙으로 이뤄졌다. 돌로 만들어진 말이산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해 고분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둘을 나눠주는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흥미롭다. 남극 세종과학기지에서 지내며 남극의 생태계를 연구한 저자들이 직접 찍은 사진도 눈을 즐겁게 한다. ●‘SF 덕후’를 위한 백과사전SF 거장과 걸작의 연대기김보영·박상준·심완선 지음 | 돌베개374쪽 | 1만950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토록 좋아했던 천체물리학 수업도 들었다. 이때 새벽에 학교 천문대에 올라가 천체 사진을 찍어 분석하곤 했다. 기숙사에서 자전거를 타고 수업을 들으러 가며 잠에서 깨고, 친구들과 차를 빌려 놀러 가는 등 여느 대학생처럼 즐겁게 보냈다.스탠퍼드대는 모든 학생에게 전공 선택 전 지도교수(pre ... ...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북적북적’이곳은 미국의 명문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캠퍼스입니다. 한창 방학인 1월에 학생들이 각자 무언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뭘 하는 걸까요? 잠깐, 한 강의실에 익숙한 수학 기호가 새겨진 모자가 보입니다. 그 옆에 무언가 적혀 있는데요, 오잉? ‘위대한 적분가’…? MIT 학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행사장 뒤편에 청소년들이 지난 반년 동안 만들어낸 탐험의 결과물인 포스터, 사진, 동영상이 전시됐지요.김신혜 학생(서울 언주중)과 곽수진 학생(서울 한성여중)은 과학과 언어, 음악을 융합한 사례를 소개했어요. 전국 30곳이 넘는 지역에서 18종에 달하는 귀뚜라미의 소리를 수집한 두 친구는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NASA) 소속 우주 비행사 닉 헤이그가 ISS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트위터에 공개했어요. 사진에는 사람의 홍채처럼 보이는 동그란 지형이 담겨 있었지요. 이는 지름이 50km에 달해 우주에서만 볼 수 있는 ‘리차트 구조’로 사하라 사막 서부 모리타니아 지역에 있어요. 눈처럼 생겨 ‘지구의 눈’ 혹은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들에게 펭귄임을 어필하기 위해 방송에서 X선 촬영 사진을 공개했다. X선 촬영 사진에서 펭수의 다리는 곧게 펴져 있었다. 그런데 펭수가 한 가지 몰랐던 사실이 있다. 실제로 펭귄의 다리는 직각에 가깝게 굽어있다. 사람과 펭귄은 둘 다 이족보행을 하며, 다리의 골격구조도 기본적으로 같다.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