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슬아슬 서낭바위를 조각한 주인공은 파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강원
대학
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
대학
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4컷 만화] 해조류 덕분에 40년 만에 시력을 찾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월 24일, 스위스 바젤
대학
교 안과학부 보톤드 로스카 교수팀은 해조류 유전자를 시각장애인의 망막에 이식해서 시력을 일부 되찾게 했다고 밝혔어요.실험에 참여한 시각장애인은 망막색소변성증●으로 40년간 앞을 보지 못했어요. 망막에서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단백질인 옵신이 없어서 빛을 ... ...
[기획] 과학자들의 실험실 하수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과학자들의 실험실 하수도Part1. [기획] 질병을 파악하라!Part2. [기획] 미량 오염물질을 찾아라!Part3. [기획] 싱크홀을 막아라! ...
[기획] 하수도1 질병을 파악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곧바로 해당 건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지요. ●인터뷰김성표(고려
대학
교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하수 역학으로 코로나19를 예방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Q하수 역학이 코로나19 연구에 효과적이라고요? 코로나19는 잠복 기간이 있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다만 수면 놀람증은 수면 중보다 잠들기 시작할 때 자주 관찰돼요. 2016년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
교 연구팀은 수면 놀람증의 70~80%가 막 잠들기 시작할 때 관찰됐다는 연구를 발표했지요. 이런 탓에 잠들 때 근육이 충분히 이완되지 못해 비자발적인 근육 수축이 일어난 게 수면 놀람증이라는 가설이 ... ...
[JOB인터뷰] 춤에도 수학이 필요해! 김설진 무용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2호
무용가는 1981년 제주도에서 태어났어요. 예술인을 길러내는
대학
교인 서울예술
대학
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현대무용을 배웠어요. 2014년 춤 오디션 프로그램인 ‘댄싱 9 시즌2’에 출연해 우승하면서 국내에도 이름을 널리 알렸어요.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은 어린이라면 주목! 이번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치료할 수 있는 인공항체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인터뷰김종호(한양
대학
교 ERICA캠퍼스 재료화학공학과 교수)“항생제 내성균 문제를 해결해요!” Q식중독 질환을 치료할 인공항체를 개발한 계기가 무엇인가요?식중독균에 감염되어 병원에 가면 원인균이 무엇인지 알기도 전에 ... ...
[가상 인터뷰] 옆 동네 흰동가리가 더 어른스러운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주목을 받았어. 줄무늬 생기는 속도가 말미잘에 따라 다르다고?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
대학
원 해양생태진화발생생물학부 빈센트 라우뎃 교수팀은 ‘융단열 말미잘’에서 자란 흰동가리가 ‘헤테락티스 마그니피카’라는 말미잘에 서식하는 흰동가리보다 몸의 흰 줄무늬를 더 빨리 만든다는 ... ...
[지구사랑 탐사 현장 취재] 전기차, 매미, 개구리를 살리는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청개구리가 염분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인 ‘내염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해요. 미국 유타
대학
교 몰리 아베커 연구원은 일부 개구리가 내염성 유전자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지요. “이번에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바다에 사는 청개구리의 서식 환경을 알아보고자 해요! 바다에서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같은 곳이다. 국가자료통신망(내부망)을 통해 기업,
대학
에 있는 과학기술보급실, 행정조직(행정기관)의 미래원(도서관)이 서로 연결돼 있어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최현규 KISTI 책임연구원은 “해외 학회에서 만난 북한 과학자들에게 논문을 보여주면 출력해서 줄 수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