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또 알파고의 바둑, 왓슨의 퀴즈나 의료처럼 어느 한 분야만 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대신 인간이 하기 어려운 복잡한 계산이나 데이터 분석은 인공지능이 훨씬 잘 하는 분야예요. 실제로 인공지능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분야는 주식 투자, 의료 데이터 판독, 빅데이터 검색 등 빠르고 정확한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다니기 위해 선글라스를 끼거나, 세상에서 사람과 공존하기 위해 사람을 죽이는 대신 비닐 팩에 든 피를 빠는 코믹한 이미지도 있다. 올 여름에는 무서운 뱀파이어와 다정한 뱀파이어, 웃기는 뱀파이어 중 누구와 함께 더위를 날려버릴까?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뱀파이어 & 좀비Part 1.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이 게임에도 끌어당기는 힘이 항상 있으니까요. 가끔은 박스가 땅 위를 달리는 대신 하늘을 날아요. 로켓처럼 불꽃을 내는 박스가 위아래로 뻗어 있는 기둥을 요리조리 피해 허공을 날아가지요. 그런데 일곱 번째 레벨인 ‘Jumper’처럼 게임 도중에 위아래가 바뀐 채 박스가 천장을 달리는 구간도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욕심쟁이였을 것이다. 세포막을 조심스레 여닫으며 주변에 풍부한 영양소를 흡수하는 대신, 세포막을 활짝 열어 아예 크게 한 움큼 베어 먹는 방법(세포내흡수)을 선택한 세포였다. 한입에 많이 먹을 수 있지만 반대로 다른 원핵생물 같이 쓸데없는 불청객이 몸속에 들어올 수도 있는 위험한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운반돼 ATP를 만드는 데 쓰이지만, 암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지 않는다. 대신 세포질에서 젖산으로 바뀌면서 ATP가 나온다. 이 과정은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ATP 생성과 달리 산소가 필요없고 더 빠르다. 항산 산소가 부족하고, 빨리빨리 에너지를 공급받길 원하는 암에 안성맞춤인 반응이다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말해, 날카로운 이빨로 껍질은 쉽게 뚫을 수 있지만 속에 든 액체를 먹기는 쉽지 않다. 대신 앞니로 낸 작은 구멍 안으로 길다란 가운데 손가락을 넣었다 뺀 뒤, 그 손가락을 핥아 먹는다. 갈고리가 아닌, 효율이 다소 나쁜(?) 숟가락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속도는 느리지만 새알처럼 점성이 높은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편 알파고가 출력한 대로 바둑판에 돌을 두는 역할을 했답니다.알파고는 사람으로 대신했지만, 사실 21세기 인공지능에게 센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예요. 로봇이나 무인기, 스마트폰 등 사람의 생활을 돕는 인공지능 기기는 센서가 있어야만 외부의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그에 맞게 대응할 수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같은 부작용은 없을지 우려한 것이다. 이에 수학동아가 대표로 궁금한 질문을 대신 물었다.Q 학생들이 팀 프로젝트 수업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요?학생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조별 수업을 많이 해서 이런 수업이 낯설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문제 해결 능력도 뛰어나고, ...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감을 수밖에 없었다.다람쥐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눈을 떠보니 뉴턴은 온데간데없었다. 대신 뉴턴과 비슷한 머리 스타일을 한 사람이 다람쥐처럼 쳇바퀴를 돌리고 있을 뿐이었다.“아저씨는 누구세요? 방금까지 뉴턴 아저씨와 함께였는데 갑자기 사라졌어요.”“사람이 사라졌다고요?”“뉴턴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데 한계가 있었고, 실험을 정밀하게 설계하기도 어려웠다. 그래서 자유낙하 실험 대신 지상에서 좀 더 정밀하게 힘을 측정하는 실험이 고안됐다.1908년 헝가리 물리학자 외트뵈시는 비틀림저울로 등가원리를 검증하는 실험을 설계했다. 지표면에 가만히 정지해 있는 물체는 중력과 함께 지구 자전에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