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협정"(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2015.12.28
- 고생물학연구소 소장이 됐다. 때마침 폴란드과학원은 몽고와 고생물학 탐사를 하기로 협정을 맺었고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가 1963~1971년에 걸쳐 여러 차례 탐사를 이끌었다. 이때 발굴한 유명한 공룡화석으로 앞에 언급한 데이노케이루스의 거대한 팔과 함께 영화 ‘쥬라기 공원’으로 유명해진 ... ...
- 영국, 해양 유류 오염 발생 시 대처 가이드 발표2015.12.17
- 경우을 위해 가승인 절차도 준비되어 있다. 가승인은 MMO와 항만청(항구 관리기관)사이의 협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특정 종류의 유류처리제는 특정한 조건, 특정한 지역에서 MMO의 승인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승인 절차의 골자다. 이러한 가승인은 해안에 위치한 유류 및 가스 시설이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카다라쉬로 결정된 후 비로소 2006년 10월 ITER사업의 본격적인 출발을 의미하는 공동이행협정이 이루어졌다. 이들 7개국은 사이좋게 건설비와 사업비를 나눴다. 건설국인 EU가 전체비용의 45.5%를 부담하기로 하고 나머지 여섯 개 나라가 9.1%씩 분담한다. 또 ITER 건설은 회원국별로 할당된 주요 ... ...
- 'KINAC을 핵안보 및 핵비확산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관으로'2015.10.02
- 받았다고 한다.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에도 기여 최근 41년 만에 개정된 한미원자력협정도 KINAC의 업무와 깊이 관련된다. 손 원장은 "미국의 원자력 관련 기술을 사용하거나 제3국에 수출할 때 건건이 사전동의를 받았던 제약에서 벗어났으며,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해 이를 연구하고 관리할 수 있는 ... ...
- 사용후핵연료 활용 숨통 트였다2015.10.02
- 상용화를 위한 실증 단계 도입 등 중요한 결정이 내려질 것이다. 이번 한·미 원자력협정 타결로 국내 사용후핵연료 연구에 숨통이 트이게 되었다. 다만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 해도 핵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우려가 먼저 생기는 것이 국내 현실로서 파이로프로세싱을 통한 핵 확산성을 의심하는 ... ...
- 원자력에너지 분야에서의 러시아 도약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27
- 러시아는 인도에 2035년까지 쿠단쿨람 3, 4호기를 포함한 총12기의 원자로를 건설하는 협정을 체결했으며, 벨라루스에서는 원자로 2기를 건설하고 있고, 베트남에서는 2017~2018년에 2기의 원전 건설에 착공할 예정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8기 원자로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렇게 세계 원자력 무대에서 ... ...
-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가능성을 열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방사성폐기물 처분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협정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한미 파이로 공동연구가 완료되는 2020년 이후, 동 실험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하기로 정책이 결정되면 한미간 고위급위원회를 통해 협의하여 추진할 수 ... ...
- 본격적인 ‘원자력 수출국’으로 도약대 마련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전 세계적인 물량부족 및 가격상승 등으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바 있었다. 그러나, 새 협정을 통해 이러한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미국산 우라늄을 이용해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사전동의를 확보했다. 현재 부산시 기장군에 건설중인 연구용 원자로가 2018년 이후 완공되면 약 130억원 규모의 ... ...
- 41년만의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연구자율권, 원전 선진화 기반 전기 마련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핵비확산성에 엄청난 이바지를 하기도 했다는 점도 부각시켜야 한다. 사회 새로운 협정은 평등·호혜 원칙하에 원자력 이용은 ‘불가양의 권리(inalienable right)’임을 확인했다. 협상단의 노고가 엿보인다. 개정협상 타결로 양국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길 기대해 본다. * 본 기사는 ... ...
- “일방에서 호혜적 관계로”성공적이나 해결할 과제도 많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23
- 했다. 명문화된 협정안에 안주하지 않고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는 의도다. 신 협정 이행을 위한 정부 및 국내 원자력계의 역량 결집을 통해 우리의 실질적 국익이 확대되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 ...
이전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