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면
마스크
병
사고
방호구
방독면
taal
스페셜
"
탈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KINAC 설립 10주년으로 돌아보는 우리나라 원자력 통제의 역사
동아사이언스
l
2016.08.12
정책 등을 연구하는 등 전문기술지원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다. 이후 한동안 별
탈
없던 우리나라에 2000년대 중반 큰 사건이 터졌다. 1999년 서명한 추가의정서(AP: Additional Protocol)가 2004년 2월에 발효되면서 기존의 보고 대상이 아니었던 연구 활동 등이 새롭게 보고 대상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 ...
더우면 난폭해진다, 진짜일까?
2016.08.09
약물을 주사했을 때 그 상태를 전가할 마땅한 설명이나 대상이 없었던 사람들은 별
탈
없이 지나갔던 반면, 때마침 누군가가 작은 실수를 했다든가 해서 현재 감정을 설명할 무언가를 찾게되면 ‘저 사람이 날 화나게 했다’며 크게 분노하게 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심장이 빨리 뛰고 있다 +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
2016.08.01
지내겠지만…. 그런데 이번 올림픽은 어느 때보다도 어수선한 것 같다. 솔직히 별
탈
없이 제대로 치러질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지카바이러스 창궐은 그렇다고 쳐도 현지의 불안한 치안상태로 선수들조차 안전하지 않다는 얘기도 들리고(오늘 아침에도 한 중국선수가 짐을 다 도둑맞았다고 한다)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
IBS
l
2016.07.05
자동차가 없던 시대에 산다면 '더 빠른 말을 원한다' 했을 것이다. 자동차라는 새로운
탈
것을 상상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자동차가 개발됐고, 말이 끄는 마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런 예들을 잘 생각해보길 바란다. 현재 유용한 기술들은 처음에는 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에만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
2016.06.14
자신과 다를 뿐 틀리지 않은 무엇에 대한 혐오를 정당화할 때 쓰일 경우, 이런 도덕의
탈
을 쓴 혐오의 핑계들은 사회로 당당하게 터져 나오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최근 실험사회심리학지(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 최근호에는 보톡스에 관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제기한 논문이 실렸다. 이
탈
리아 고등연구국제대학(SISSA) 연구자들은 보톡스 주사를 맞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인의 말이나 얼굴표정에서 감정을 읽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미간과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
탈
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이런 면역반응의 결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네안데르
탈
인 Y염색체를 지닌 개체는 생식력 또는 생존력이 떨어졌을 것이라는 가정은 ‘홀데인 법칙’과도 부합하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저명한 유전학자 존 홀데인이 1922년 한 논문에서 제안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다.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이 이런 문제가 없는 아이를 낳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문제가 없는 여성(오른쪽)의
탈
핵한 난자에 자신의 핵을 넣은 뒤 수정을 시켜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이다. 지난해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임상적용이 합법화돼 곧 적용될 예정이다. - 사이언스 제공 ● 10년 동안 준비한 결과 사실 MRT의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제모를 하는 여성들로서는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반면
탈
모로 걱정이 많은 남성에게는
탈
모를 역전시킬 ‘과격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이 될지도 모르겠다. 물론 ‘의사의 동의’ 없이는 절대로 실행해서는 안 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계절이 바뀌면 사람도 변한다
KISTI
l
2015.11.10
타요? 첫사랑이 막 생각나고? 아빠도 그래요?” “그건 맞아. 남자든 여자든 가을을
탈
수밖에 없어. 일조량이 감소하면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의 분비는 감소하고 숙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분비는 증가하거든. 이럴 때 개인적으로 안 좋은 일이 생기면 ‘계절성 우울증’이 오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