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상기하학
기하학
위상수학
수학
페이즈
스페셜
"
위상
"(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여권도 없이 영국으로 도망쳐 케임브리지대에서 다시 박사과정에 들어가 논리학과
위상
학 연구로 1959년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제네바대에서 교육심리학자 장 피아제와 함께 일하며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을까 고민하기 시작한 페퍼트는 1963년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주기에는 너무 동떨어진 학문이라고 생각한 결과일까. 아니면 19세기에는 생물학의
위상
이 낮았기 때문일까. 아무튼 이름이야 어찌되었건 생리의학상은 의학이 강조된 생물학상이라고 봐도 별 무리는 없다. 다만 예외가 있는데 바로 식물학 분야다. 아무리 위대한 발견이라도 식물에 고유한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
IBS
l
2016.10.04
활용 범위와 분야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현재 구축 중인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의
위상
과 역할도 그만큼 중요해지고 있다. 입자를 빛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기는 중이온, 양성자나 전자 같은 입자를 가속하는 장치다. 보통 입자(particle)가속기라고 부른다. 전자기력을 이용해 입자를 빛에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IBS
l
2016.09.01
부단장은 2006년 MIT 박사후연구원으로서 살아 있는 세포 내부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단층
위상
현미경(TPM)을 최초로 개발했다. 당시 분광학 실험실을 이끌던 마이클 펠드(Michael Feld) 교수는 빛을 생체 조직에 비춰서 산란되는 패턴으로 암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빛이 산란하며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생리학 분야로 환경에 따른 식물의 적응력을 보여주는 실험이다. 그럼에도 멘델의
위상
이 흔들리는 때라서 그런지 반가운 마음에 잠깐 소개한다. 동물의 경우 먹이가 풍족할 때는 안정적인 환경을 선호하고 부족할 때는 변이가 큰 환경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이 있는데 이를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일부와 치아 여섯 개였다. 그런데 한 줌도 안 되는 이 뼈들이 고인류학에서 호빗의
위상
을 확고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굴로 호빗이 병든 현생인류라는 주장은 더 이상 설자리를 잃었지만 그 기원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즉 호빗이 호모 하빌리스의 직계후손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
핵물질 사찰도 우리 기술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3.29
있다. 또한, 원자력 선진국 그리고 핵비확산 및 핵안보 모범국으로서 우리나라의 국가
위상
제고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핵비확산뉴스(http://kinac.re.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소위 ‘마키아벨리적(교활한) 지능’ 또는 ‘사회적 뇌’ 가설이 득세하면서 도구의
위상
이 추락했다는 설명이다. 아무튼 이런 분위기가 우세하던 1990년대 스타우트 교수는 우연히 석기의 제작기술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알게 됐고 스스로 석기를 만들어보다가 너무 어려워 당황했다. 즉 인간만의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3.04
자랑한다. 지난 2015년 4월부터 독립 행정법인에서 국가 연구개발법인으로 전환되면서 그
위상
이 좀 더 높아졌다. 약 170명의 연구원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명실공히 일본의 대표 해양·해양기술 연구 거점이다. 이름에 걸맞게 선박 관련 연구도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그중 환경·동력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때 다른 방향이 줄어들어(‘ㄱ’자로 만든 이유다) 빛이 이동하는 거리가 변하면서
위상
차이도 변해 상쇄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즉 신호가 잡혀 중력파가 검출된다는 말이다. 당시 라이고의 정확도는 10의 18승분의 1m로 양성자(수소원자핵) 크기의 1000분의 1에 불과했다. 당시 검출 범위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