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압박
강제력
조사
수사
고문
추적
압도
스페셜
"
압력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4세대 가속기, 물질의 근본 원리를 찾는 탐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LLCP)’의 존재를 밝힌 연구가 대표적이다. 오래전부터 학자들은 액체 상태의 물이 온도와
압력
에 따라 무거운 물과 가벼운 물로 존재한다는 가설을 증명하려고 애썼다. LLCP는 이 가설에서 두 상태가 공존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 가설에 따르면 물은 LLCP를 지난 상태여서 한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 ...
청소년 흡연·음주 세계로 이끈다는 '또래
압력
', 알고보면 선한 영향도 미친다
2020.12.16
선택을 볼수록 더 크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의 안전한 선택에 더 큰 또래
압력
을 받은 것이다. 반면 비행 청소년은 위험한 선택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또래가 안전한 선택을 해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정 교수는 "청소년기에 비행행동을 한 사람은 성인이 된 ... ...
바다 밑 온실가스 메탄, 썰물 때 대기 중으로 빠져나간다
2020.12.15
가스 배출량이 예상치보다 많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심해는 물의
압력
으로 해수에 녹은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가능성은 적지만 얕은 바다에서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학술적 성과를 인정받아 국제학술지 ‘네이처 ... ...
막대한 에너지 투입해 생산하던 암모니아, 쇠구슬 굴려서 만든다
2020.12.15
하버-보슈법은 대기압의 약 200배, 450도 고온에서 25%의 수득률을 가진다. 기존 공정보다
압력
은 200분의 1로, 온도는 10분의 1로 줄이면서 수득률은 약 3배 높다. 복잡하고 큰 설비가 없이 작은 장비로도 바로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암모니아는 가스를 액화해 운송하고 ... ...
2050년 ‘탄소중립’ 구현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현주소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활용할 수 있다”며 “지층의 작은 공극에 이산화탄소가 스며들게 하는
압력
을 어떻게 가해야할 지 실험을 통해 축적하고 지질 구조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연구가 공주대 예산캠퍼스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산화탄소를 새로운 고부가가치 소재로 개발하는 CCU 기술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막세포 노화 되돌려 생쥐 시력 돌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진행했다. 그 결과 노화와 관련된 시력 상실 겪은 생쥐와 녹내장 질환의 특징인 눈 내부
압력
이 증가한 생쥐의 시력을 되돌아왔다. 망막세포의 수와 신경 성장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망막 세포의 수가 2배 늘었고 신경 성장도 5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미국 생명과학회사 ... ...
[소재의 미래]⑶용접도 대신할 절대 안떨어지는 궁극의 접착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교수를 지난달 30일 부산 금정구 부산대에서 만났다. 남윤중 용접은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
을 가해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시키는 기술이다. 청동기 시대부터 지금까지 중동과 유럽에서 이어져 오고 있다. 모든 산업에서 사용되며 산업화의 기틀을 마련한 뿌리 기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정보가 있다면 그 정보에 부합하는 데이터는 선택하고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는 버리려는
압력
이 부지불식중에도 작용할 수 있다. 아주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런 식으로 계속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그 결과는 결국 실험자가 원하는 이상치에 ... ...
[랩큐멘터리]당뇨 진단하고 치료하는 똑똑한 콘택트렌즈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도입하면서 한층 상용화에 가까워졌다. 안압을 측정하는 센서도 추가해 눈의
압력
을 읽고 녹내장 위험을 미리 예방하는 렌즈도 개발됐다. 나노소재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미터(nm) 크기의 소재다. 연구실은 진단과 치료 모두에 나노소재를 활용하는 나노의학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진단을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구성됐고 다른 층은 센서의 전자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금 회로로 구성됐다. 센서는
압력
을 측정하는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했을 뿐 아니라 대기압에 해당하는 약 100킬로파스칼(kPa)의 힘으로 30번가량 문질러도 성능이 전혀 떨어지지 않았다. 사람의 인지 능력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