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스페셜
"
수정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화,100% 수입하던 정지궤도위성 추력기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사업에 참여하고 이원추진제 추력기 개발에 나선다. 추력기는 인공위성의 궤도
수정
과 자세 제어를 담당하는 부품이다. 위성의 수명과 직결돼 ‘인공위성의 심장’으로도 불린다. 지구 중력이나 다른 행성의 인력이 위성 운항을 방해할 때 궤도와 자세를 바로잡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인공위성뿐 ... ...
미 법원, 화웨이 SOS 기각…정부 '국가안보 위협론' 승소
연합뉴스
l
2021.06.20
주장도 기각했다. AP 통신은 이날 판결이 국가 안보에 관련한 정부 판단에 대해서는
수정
하지 않는 미국 법원의 오래된 전통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간판 다국적기업이자 세계적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를 겨냥한 규제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FCC는 화웨이와 ZTE 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잘 되는 일
2021.06.19
뭐"와 같이 다른 목표들도 마찬가지다. 여러가지 이유를 떠올리며 원래의 계획을 수십번
수정
하다가 이젠 너무 늦었다며 결국은 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목표 자체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것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의 실제 계획이란 깃털같이 가벼운 성질을 갖고 ... ...
'로스트인 스페이스' 호주가 반세기만에 다시 우주개발에 눈 뜬 이유를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활동과 기술을 소개한다.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이달 9일 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수정
안에 새롭게 담아 추진 중인 한국형 항법위성시스템(KPS) 개발과 함께 최근 우주물체와 우주쓰레기 문제로 중요성이 커진 우주상황인식에 대한 양국 실무 협력사항도 논의한다. 첫째날인 17일에는 우주정책과 ... ...
지구충돌 위험 140m이상 천체 90% 발견에 한걸음 더 다가서
연합뉴스
l
2021.06.14
지구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을 피하기 위한 첫 실험으로 올해 말 '쌍(雙) 소행성 궤도
수정
시험'(DART) 우주선을 발사한다. 이 우주선은 내년 가을 소행성 디디모스(지름 780m)를 도는 디모르포스(163m)에 충돌하는 실험을 하게되는데, 이런 충돌 방법도 일찍 발견해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
2021.06.12
부정적 시그널을 주기 때문이다. 이유야 어떻든 분노는 ‘위험 요소를 제거 또는
수정
’하는 것이 그 본래 목적이다. 따라서 버튼이 눌렸을 때 과한 분노로 쓸데 없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혈압을 높여서 건강을 위협받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 전에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로 그 ... ...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불발'…다음 회의에 재상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이유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전날인 10일 신한울 1호기의 최종안전성평가보고서에서 문구
수정
등 변경이 필요하다고 보고하면서 해당 변경사항에 대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추가 검토를 거친 후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 ...
나로우주센터 확장해 고체발사체용 제2발사장 짓는다…한화 등 고체 우주발사체 기업 육성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방안도 추진된다. 정부는 9일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을
수정
하면서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전략에 고체연료 기반 발사체와 발사장 개발을 추가하고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우주 발사체는 추진제 특성에 따라 액체로켓과 고체로켓으로 나뉜다. 고체로켓은 고체 ... ...
한반도 초정밀 위성항법 시대 온다…한국형 GPS 2027년 첫 위성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열린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 계획
수정
안’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한미 위성항법 협력 공동 서명' 내용을 반영해 한미 양국이 KPS 개발 지원과 KPS·GPS 간 상호운용성을 ... ...
2024년 첫 고체 우주발사체 쏘고 2031년까지 초소형 위성 110여기 띄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등 지난 한미 정상회담의 우주 분야 논의 결과를 반영한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
안’을 심의 및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과 ‘위성통신 기술 발전전략’도 확정됐다. 이날 확정안으로 향후 국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