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렵
포획
헌팅
발포
발사
헌트
산행
스페셜
"
사냥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기질의 병’으로 여겨졌지만 19세기 후반 세균이론이 나오면서 연구자들이 병원체
사냥
에 몰두했고 다른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들은 무시한 결과다. 다시 기고문으로 돌아와서, 카사데발과 피로프스키는 절대적인 병원체도 없고 절대적인 유익균(또는 무해균)도 없다며 중요한 건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구성해 정신분열증을 비롯한 여러 정신질환에 대해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사냥
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연구 방법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일반인과 환자의 게놈을 비교분석해 환자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나는 단일염기다형성(SNP) 자리를 찾는 작업이다. 지난해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 ... ...
거대쥐가 생태계를 습격한 사연
KISTI
l
2015.04.28
진화한 바 있다. 육식공룡이었던 티라노사우르스는 몸길이 13m에 몸무게 6톤의 거대한
사냥
꾼이었으며, 이름마저도 어마어마한 슈퍼사우루스는 몸길이만 42m에 55톤의 몸무게를 지닌 그야말로 산더미 같은 생물체로 자라났다. 하지만 모든 개체들이 이 전략을 이용할 수는 없다. 이미 덩치가 큰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고민거리는 항공기나 로켓의 공습이 아니었다. 바로 영국에 물자를 실어나르던 상선을
사냥
하는 유보트들이었다. 독일의 잠수함 작전은 실로 효율적이어서 영국은 격파된 상선들을 보충하느라 항공모함은커녕 구축함도 제대로 만들지 못할 정도였다. 그렇다고 상선 제작을 멈췄다가는 섬나라인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길이로 지금이 하루 가운데에서 어느 때인지 짐작할 수 있었고, 이런 시간의 측정은
사냥
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고대 인류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처음으로 만든 시계는 해시계였다. 그들은 해시계 이외에도 물시계, 모래시계, 기름시계와 같은 많은 종류의 시계를 고안해 시간을 측정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먹이 부족, 겨울철 국립공원을 벗어난 엘크를 대상으로 한
사냥
등 다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즉 100년 전에는 늑대가 옐로스톤 생태계에 중요한 축이었지만 늑대가 사라지고 70년 동안 생태계가 근본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도입을 하더라도 옛날의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2008년 가동에 들어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초대칭입자
사냥
에는 실패했지만 힉스입자 검출에 성공하면서 초대칭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더 큰 규모의 가속기(둘레 100km에 이르는) 건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기법을 배운 뒤 1972년 스위스 바젤대 생명과학센터 교수로 부임해 본격적인 유전자
사냥
에 들어가 1983년 마침내 안테나페디아 유전자를 찾았다. 안테나페디아는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유전자였다. 그런데 이 유전자 중간에 여러 유전자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염기 180개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큰데 아이 키가 작은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키 유전자
사냥
에 뛰어들었고 실제 유전자들을 여럿 발견했다. 아쉽게도 ‘이게 바로 키 유전자’라고 할 만큼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가 있는 건 아니고 기껏해야 수 % 기여하는 정도였다(통계기법을 통한 추측). 즉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한껏 당긴 시위는 사슴과 호랑이를 겨누고 있다. 잠깐 사이에 저 무사들은 힘들게 잡은
사냥
감을 들고 의기양양하게 개선할 터다. 무용총 벽화는 전성기 고구려 미술의 대표작으로 손꼽히곤 한다. 이 작품에서 눈여겨볼 곳이 있다. 바로 말과 사슴, 호랑이가 뛰어가는 모습이다. 동물들은 하나같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