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스페셜
"
멸종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백두산과 같은 슈퍼화산 폭발은 몇 번 없었다”며 “약 7만 4000년 전 인류를
멸종
위기로 몰아넣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토바 화산의 화산폭발지수는 8로, 백두산보다 약 10배 강력했다”고 말했다. 강력한 폭발 전력을 가진 백두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향후 폭발 시기와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DNA 분석 결과는 오늘날 늑대와 개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따라서 이 계열은
멸종
했을 가능성이 크다) 잠정적으로 늑대개라고 부른 것이다. 개와의 협력이 현생인류의 성공에 중요했다는 가설을 담고 있는 ‘침입종 인간’이 최근 번역출간됐다. 2015년 출간된 원서의 표지로 개가 늑대처럼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
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비둘기 한 마리가 등장했다. 어딘지 모르게 쓸쓸해 보이는 이 비둘기는 같은 종 안에서 지구상에 마지막 ... 연구팀은 논문에서 ‘개체군이 크고 안정적인 종일지라도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멸종
할 수 있다’는 것이 교훈이라고 밝혔다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사이언스 제공 아프리카 남서부 앙골라의 광산에서 404캐럿의 대형 다이아몬드 원석이 2월 발견됐다. 길이 7㎝에 순도는 최고등급, 색상 ... 어류”라며 “‘호랑이 꼬리 해마’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리스트에 등재된
멸종
위기 종인 만큼 이번 연구의 의미가 더 크다”고 설명했다.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작은 무리가 고립돼 살아가며 동계교배가 자주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종의
멸종
을 막는데 서식지 보호와 함께 무리의 다양성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얘기다. 논문을 읽다가 우리나라의 ‘wild leopard cat’의 게놈도 해독했다는 구절을 읽고 순간 우리나라에서 표범을 발견한 건가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
동아사이언스
l
2016.09.19
꺼내 먹는다. 하와이 까마귀는 1970년대부터 급격하게 그 수가 줄어 2000년대 초
멸종
위기에 빠졌다. 이를 우려한 사람들은 생존한 까마귀들을 지금껏 보호시설에서 길러왔다. 몇몇 까마귀들이 부리로 나뭇가지를 물고 고목 옹이구멍 등에서 벌레 등을 끄집어내는 모습을 보고, 연구진은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
될 수도?
2016.09.19
아종을 다 합쳐도 5000마리가 채 안되고 망상기린의 개체수도 9000마리가 채 안 된다. 자칫
멸종
에 이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나머지 두 종도 마사이기린이 3만 마리, 남부기린이 4만 마리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코끼리나 기린처럼 멋진 동물이 더 이상 줄어들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 필자소개 ... ...
우주의 비밀 풀기위해 한국에 모인 암흑물질 연구자들
IBS
l
2016.08.02
이렇게 태양계로 끌려온 천체 하나가 지구와 부딪치면서 6600만 년 전 공룡의 대
멸종
을 유발했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리사 랜들 교수의 가설대로라면, 암흑물질로 인해 언제 또다시 소행성이나 혜성이 태양계로, 지구로 날아올지 모른다. 물리학자들은 지구를 비롯해 우주에서 우리가 볼 수 있고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살고 있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현생인류와 가장 가까운 인류로 여겨진 네안데르탈인이
멸종
한 게 4만 여 년 전 일이므로 고인류학의 프레임이 크게 흔들렸다. 몇몇 학자들은 한 술 더 떠 길고 편평한 발 등 호빗의 골격이 호모 에렉투스보다 더 원시적이라며 호빗은 호모 하빌리스 또는 심지어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머스크)을 얻으려고 사향노루를 잡다보니 개체수가 줄어 사향이 금값이 되고 급기야
멸종
위기에 처하자 결국은 사용이 금지됐다. 다른 천연물질로는 결코 사향을 대신할 수 없다. 다행히(?) 화학자들이 다양한 합성 머스크 분자들을 합성해 오늘날에도 향수의 잔향에서 사향을 느낄 수 있다. 20세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