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자료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데이타
관련데이터
스페셜
"
관련자료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이시종 충청북도 도지사. 이 도지사는 충북이 우리나라 생명산업을 선도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바이오’에 대한 인식조차 없던 20여 년 전부터 충청북도는 생명공학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주목했습니다. ‘오송바이오 밸리’는 싱가포르 ‘바이오폴리스’, 미국 ‘몽고메리카운티’를 능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양은경 KIST 테라그노시스연구단장 “바이오 분야의 연구에서는 ‘코웍(co-work)’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다른 분야도 그렇겠지만 생명과학 분야는 복잡해서 혼자서 연구해 좋은 성과를 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관련 연구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좋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죠.” 양은경 한국과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연구소는 기업을 도우라고 있는 겁니다. 민간기업이 직접 진행하기 어려운 값비싼 독성평가 연구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겠습니다. 기업들이 싼 값에 고품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 해 12월 22일,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안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큰 시장이 바이오헬스산업입니다. 국민의 건강주권 확보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죠. 우리의 강점인 IT분야를 활용하면 바이오헬스산업에서 세계적인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 차동형 지식경제부 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의 신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을 다루다보니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 “학자라면 연구자 스스로를 믿으며, 고정관념에 끊임없이 도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호주 수교 50주년 기념으로 방한한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는 지난 3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동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전 세계에는 약 3만5000여 종의 생물이 있는데 그중 80%에 해당하는 2만8000여 종이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를 활용하는 해양생명공학이 각광받을 것입니다.”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만난 박광열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의 경우 높은 생물다양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측면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생명공학 분야의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좁혀가기 위해 국내 생명공학 연구진의 인력과 전공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해서 확보해 나갈 생각입니다.” 5일 서울시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용석 생명복지조정과 과장은 릴레이 회의로 수척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2000년대 바이오산업을 의약품 벤처가 주도했다면, 앞으로는 대규모 바이오화학 기업이 이끌어 나갈 겁니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투자한다면 20년 뒤에는 원유 대신 미생물로 만든 우리나라의 친환경 플라스틱이 세계 시장에 널리 퍼질 지도 모르죠.” 정준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본부장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박사후연구원을 위한 지원제도가 잘 갖춰져 있다면 젊은 박사들이 굳이 미국행을 택했을까요?” 지난달 30일 미국 보스턴생명과학센터에는 재미 한인 생명과학자 30여 명이 모였다. ‘뉴잉글랜드 지역 한인 생명과학협회(NEBS)’가 주관하는 월례세미나가 열리는 자리였다. NEBS는 하버드대, 예일대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하는 ‘수월성 경쟁’을 해야 합니다. 제한된 연구비로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에서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습니다. 줄기세포 연구는 수월성 경쟁에서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김동욱 세포응용연구사업단장(50)은 연세대 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