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못
못
Lake
호
후미
문수
치수
뉴스
"
호수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척추뼈 선명히 드러낸 4천700만년 전 비단뱀 최고(最古) 화석
연합뉴스
l
2020.12.17
인근에 있는 메셀 피트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도 등재된 유명 화석 유적으로, 고대
호수
로 추정되는 길이 1천m, 폭 700m의 움푹 팬 웅덩이에서 신생대 제3기 에오세(5천700만~3천600만 년 전)의 다양한 동물 화석이 쏟아져 나왔다. 이번 화석의 주인공은 길이 1m의 비단뱀 새 종(種)으로, 275개의 ... ...
낚시갔다가 낚아 올린 거대한 금붕어
팝뉴스
l
2020.12.14
호수
에서 더 큰 행복을 누리게 된다. 사진 금붕어는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한
호수
에서 최근 잡힌 것이다. 어항 속 금붕어와 모양은 같은데 크기는 거대하다. 낚시꾼은 금붕어를 먹을 수는 없어서 돌려보낼 생각이었다고 하는데 금붕어가 금방 죽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약 5만년전 경남 합천에 200m 운석이 떨어졌다…한반도 첫 충돌구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보이는 흰색 선들(붉은색 화살표 방향)을 볼 수 있다. 지질자원연구원 제공. 분지의
호수
퇴적층 속에서 발견된 숯을 이용한 탄소연대측정 결과는 적중-초계분지의 운석 충돌이 약 5만년 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재 전세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된 운석 충돌구는 200여개다. 적중 ... ...
'붉은 행성' 화성 짠물서 수소 연료와 산소 직접 뽑아 쓴다
연합뉴스
l
2020.12.01
활용 가능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붉은 행성' 화성에는 지층 아래로 짠물
호수
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짠물을 전기분해해 숨을 쉴 수 있는 산소(O₂)와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수소(H₂)를 동시에 얻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학계에 보고됐다. 일반적인 전기분해로도 물에서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땅이고 하나는 하늘이다. 독일 라인란트-팔라트 중에는 라허
호수
라는 거대한 칼데라
호수
가 있다. 약 1만2880년 전 거대한 분화가 일어났다. 엄청난 양의 유황이 대기에 뿌려졌다. 북반구 전체가 추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땅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하늘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돛자리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의뢰한 물품 달에 보내드려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달 착륙선 ‘페러그린’은 2021년 16개 업체의 화물을 달의 크레이터 중 하나인 ‘죽음의
호수
(lacus mortis)’로 운송하는 미션을 수행한다.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최초의 수송 미션이다. 화물 운송을 의뢰한 업체는 연구 장비를 달로 옮기고 싶은 NASA를 비롯해 멕시코 우주 당국그리고 미국 화물 업체 ... ...
용암 바다 출렁이고 돌로 된 비 내리는 지옥같은 행성
연합뉴스
l
2020.11.04
비를 내리게 한다는 결과도 얻었다. 지구에서는 수증기가 빗물이 되어 내리고 바다나
호수
로 흘러들어 다시 수증기가 되는 물순환 과정이 반복되지만, K2-141b에서는 광물 증기가 초음속 강풍에 실려 온도가 낮은 밤지역으로 쓸려가 돌로 응결된 뒤 용암의 바다에 떨어지고 조류를 타고 낮 지역으로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존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존 프리스쿠 미국 몬타나주립대 환경과학 교수는 “
호수
의 소금 함량이 해수의 약 5배까지는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할 수 있지만 20배에 가까워지면 생명체가 존재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빙하 미생물을 연구하는 프리스쿠 교수는 “지구 남극 대륙의 염수 ... ...
[화보+]가장 오래된 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지구에 약 5억 년 전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도 약 8000여 종이 바다와
호수
, 강 등 곳곳에 서식하고 있다. 호박 화석 속에서 발견된 패충류들의 모습이다. 몸의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을 정도로 보존 상태가 좋다. 영국왕립학회보 B 제공 호박 속에서는 수컷과 암컷, 새끼 등 총 39마리의 ... ...
청바지 작은 섬유조각은 어쩌다 수만km밖 북극까지 흘러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발견됐는데 이 중 23%가 데님에서 나온 미세섬유로 나타났다. 토론토 외곽의 휴론
호수
에서 발견된 미세섬유 중 12%, 북극해 제도에서 발견된 미세섬유의 20%가 데님 성분으로 나타났다. 데님에서 나온 미세섬유는 수심 1500m의 깊이에서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청바지를 즐겨 입으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