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뉴스
"
해부학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50년만에 과학적 복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복원했다. 특히 이빨이 없는 데이노케이루스가 질긴 식물을 먹을 때 필요한 기관을
해부학
적 지식을 바탕으로 추정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주걱 같은 주둥이 끝 표면에 거친 혈관 구멍이 많다. 새 부리 같은 딱따가고 날카로운 각질 부리를 지닌 ‘각룡류’나 하드로사우루스류의 특징과 비슷하다. ... ...
[프리미엄리포트] 2100년 현존 언어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05
때문이다. 대한
해부학
회 용어위원으로 의학 용어를 다듬고 있는 정민석 아주대 의대
해부학
교실 교수는 “어렵고 낯선 한자 의학 용어 대신 쉬운 우리말 의학 용어를 쓰는 건 전문가인 의사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환자들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과학 용어에는 특히 일본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의대교수였던 베살리우스가 《인체해부에 대하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최초의 인체
해부학
서적으로 평가받을 만큼 중요한 서적이다. 봄이 오면 어느 순간 곳곳에서 온갖 꽃들이 피기 시작한다는 말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모양이다. 《천구회전에 관하여》의 ‘회전’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종양은 뇌 속에 뿌리 내려 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프랭크 윙클러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신경종양학부 교수와 토마스 쿠너 기능신경
해부학
부 교수 연구팀은 신경교종 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웠을 때와 쥐에게 이식했을 때, 성인 인간에게서 직접 채취했을 때 모두에서 시냅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미셸 몬제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학부 교수 ... ...
네안데르탈인 멸종은 중이염 잦은 귀 구조 탓
연합뉴스
l
2019.09.23
바깥귀의 압력을 같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인류학자와 머리·목 부위 전문
해부학
자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이 특별한 병원균이 아니라 만성 귓병처럼 가장 일반적이고 해가 크지 않은 아동 질환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팀이 ... ...
가깝고도 먼 친척인류 얼굴 잇따라 복원
2019.09.20
조사한 뒤, 이들이 뼈에 미치는 변화를 예측했다.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해부학
적 특징이 확인된 네안데르탈인 2명과 현생 인류 60명, 침팬지 5마리의 데이터를 함께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골격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32가지 특성을 확인했다. 그 뒤 이를 바탕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 ...
우체부들의 고환 온도 측정한 연구자, 엽기노벨상 이그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밝혀낸 공로로 이달 12일 미국 하버드대에서 열린 ‘제 29회 이그노벨상’ 시상식에서
해부학
상을 받았다. 이그노벨상은 노벨상을 패러디해 만든 상으로 독특하고 기발한 연구를 선정해 수상하는 행사다. 1991년 제정된 이그노벨상은 하버드대 과학 유머 잡지인 '황당무계 리서치 연보'가 주관하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통과한다고 했으나 이븐 알 나피스는 격벽에 구멍이 없고 단단하다고 기술했다. 이는
해부학
적으로 정확한 내용이다. 폐순환을 다시 언급한 사람은 250여 년 뒤인 16세기 유럽의 세르베투스였다. 온전한 혈액순환론이 나오려면 17세기 영국의 하비까지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억할만한 이슬람의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발생하는 질환이다. 조씨 외에도 단국대 의대 연구소 박사후연구원과 단국대 의대
해부학
과 교수, 병리학과 교수 등이 연구에 참여한 것으로 돼 있다. 연구팀은 이 논문을 통해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 신생아의 허혈성 뇌산소뇌병증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혈관 내벽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시대의 헤로필로스와 그의 제자 에라시스트라토스가 신경계와 순환계, 소화계 등의
해부학
적 지식을 넓혀 놓았다. 갈레노스는 이 모든 것을 모아 하나의 종합적인 체계로 발전시켰다. 갈레노스는 수백 권의 저술을 남기기도 했는데 갈레노스의 의학체계는 거의 1500년 동안 정통의학으로서의 권위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