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뉴스
"
저명
"(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서재]유명 과학자들이 추천하는 애장 도서 15선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철학의 토대가 된 플라톤의 공화국도 즐겨 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또 다른
저명
한 천체 물리학자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즐겨 읽었다고 했다. 그는 레딧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직접 “지구상의 다른 모든 생명체와의 친족 관계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복용해도 어느 정도 효과는 보겠지만 아쉬운 노릇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의
저명
한 노화학자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의 책 ‘노화의 종말’을 읽다가 무릎을 쳤다. 태국 같은 몇몇 나라에서는 메트포르민을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한 알에 몇 센트(몇십 원)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QLED 관련 기술을 네이처와 같은
저명
한 국제학술지에 일부 공개하며 QLED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기업들이 사내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공개하지 않는 것과 달리 적극적인 공개 방식으로 기술 주도권을 잡고 있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그가 관심을 가진 건 DNA가 아니라 RNA였다. 2006년 다우드나 교수는 이미 RNA 연구에서는
저명
한 학자로 이름을 알렸고, RNA 간섭 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냈다. 그런데 이런 RNA 연구가 결국 크리스퍼-캐스9으로 다우드나 교수를 이끌었다. 2006년 그는 UC버클리의 동료 미생물학자로부터 전화 한 ... ...
KAIST 21일 노벨상 수상자 등 초청 이머징 소재 심포지엄
연합뉴스
l
2020.09.18
것으로 보고 있다. 행사 총괄을 맡은 김일두 석좌교수는 "재료·화학, 생명공학 분야
저명
한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인 만큼 그래핀·맥신 나노 신소재·웨어러블 전자소자 등 분야 최신 미래 기술을 배울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홍수처럼 쏟아지는 코로나19 논문, AI가 정확히 찾아줘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교수·앨런 AI 연구소 CEO) SK텔레콤이 10일 개최한 ‘ai.x2020’ 컨퍼런스에는 해외
저명
한 AI 전문가들이 AI를 이용해 개발 중인 기술들을 소개했다. 이날 컨퍼런스의 첫 세션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캐나다 밴쿠버, 미국 시애틀 등 전문가들이 있는 현지를 온라인으로 연결해 생중계로 진행됐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게다가 고드는 미국에서 가장 훌륭한 연구소에서 안정적인 연구원의 지위를 가진
저명
한 과학자였고, 생물학계에서는 외부인이었다. 데이호프처럼 서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경험이 없던 고드가 이 일에 바로 뛰어들 수 있었던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분야를 잘 몰랐기 때문이었던 셈이다. ... ...
AI는 인간과 더불어 코로나 시대를 어떻게 헤쳐나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함께 하는 경험(Human. Machine. Experience Together)’. SK텔레콤은 10일 이를 주제로 국내외
저명
한 인공지능(AI) 전문가들과 함께 AI를 활용해 현재와 미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ai.x2020’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컨퍼런스에서는 올해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상황에서 우리가 ... ...
언제 어디서든 비대면 연구협업 가능한 플랫폼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3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표준연은 버추얼랩이라는 비대면 연구그룹을 만들고 국내외
저명
한 전문가들과 언제 어디서나 협업할 수 있도록 영상회의 시스템 등 연구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버추얼랩은 가상이라는 뜻의 ‘버추얼’과 연구실을 의미하는 ‘랩’의 합성어다. 클라우드 등 자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선정 10대 과학성과’에 뽑히기에 이르렀다. 최근 ‘사이언스’나 ‘네이처’ 같은
저명
한 학술지에 거의 매달 논문이 나오고 있는 세포 내 상분리의 세계를 들여다보자. 올리브오일과 발사믹식초는 상분리를 통해 두 상으로 나뉘어 존재한다. 이게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