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557건 검색되었습니다.
온실가스 메탄, 연료로 전환…고효율 메탄올 생산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기체 상태로 공급하며 연속 반응이 가능한 전기화학
장치
도 자체 개발했다. 개발된
장치
는 메탄과 전해질을 촉매 표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돼 반응물의 전달 저항을 최소화했다. 최적 조건에서 메탄올 생산 속도는 기존 기술 대비 약 10배 향상된 시간당 10밀리몰(mmol) 수준에 ... ...
유연 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뉴런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응력과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해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설계해 외부 바늘 같은 보조
장치
없이도 생체 삽입이 용이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뉴럴 프로브는 뉴런의 광수용체인 채널로돕신2 활성에 적합한 470나노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파장에서 제곱밀리미터 당 1밀리와트(mW/㎟)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Access Recorder) 데이터를 들여다봤다. QAR은 마치 USB처럼 항공기의 각종 운항 데이터가 담긴
장치
다. 모든 비행기에는 QAR이 달려 있어 비행할 때마다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착륙 때는 1초마다 데이터가 저장되고 장거리 항공 시에는 4분에 한 번씩 저장된다. 비행 도중 항공기 흔들림이나 난기류 등의 ... ...
한울 1호기 임계 허용…차단기 고장 조치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실시해 기술기준을 충족을 확인했다. 정기검사 기간에는 원자로 냉각재펌프 밀봉
장치
교체 및 밀봉주입수 누설 검사가 이뤄졌다. 밀봉주입수는 고압의 냉각재가 원자로 냉각재펌프 축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하는 냉각수다. 가압기 전열기 건전성, 액체방사능감시기 교정 관련 ... ...
한국, 세계 최고 정밀 길이 측정기술 확보…국제표준 주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측정값을 합산해야 한다. 측정시간이 오래 걸리고, 간섭계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옮기는
장치
가 필요해 제약이 있다.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긴 거리를 한 번에 측정하는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도 있다. 기준점에서 측정 대상을 향해 빛을 쏘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산출해 길이를 측정한다. 긴 거리를 ... ...
생성형AI 추론 성능 60%↑…GPU보다 효율적인 '신경망처리
장치
' 핵심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경망처리
장치
(NPU)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최신 그래픽처리
장치
(GPU) 대비 전력 소모는 약 44% 줄이면서도 추론 성능을 평균 60% 이상 향상시켰다.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의 주요 난제 중 하나인 ‘메모리 병목’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KAIST는 ... ...
2040년 한국에 뜰 인공태양 에너지, 고온초전도체·AI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목표다. CPD 목표를 제한된 시간 안에 이루기 위해 민간 기업 참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장치
를 건설할 때 ITER 사업 참여와 원전 건설 등으로 쌓인 민간의 노하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CPD 설계는 개념설계 3년, 공학설계 2년으로 나뉜다. 윤 부원장은 공학설계 단계부터 민간 기업이 적극 참여해야 ... ...
고효율 차세대 전해질 신소재 개발…"웨어러블 기기에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소재라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유연하고 안전한 고체전해질 기반 에너지 저장
장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원천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마이크로 레터(Nano-Micro Lett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doi.org/10.1007/s40820-025-01700-9 ... ...
초고해상도 영상기법으로 미토콘드리아 움직임 실시간 관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될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김준기 교수는 “살아있는 동물을 연구하는 데 영상획득
장치
를 개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고가의 광학 요소들 대신 수학적인 향상법으로 세포 소기관의 초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 ...
최고과학기술인상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메모리반도체 분야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방식을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에 주목하고 있다. 그는 "현재 AI를 구동하는 그래픽처리
장치
(GPU)와 HBM의 조합을 뜯어보면 HBM이 병목으로 작용한다"며 "아직 메모리반도체에서 발전할 부분이 남아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최근 서울대에서 정년퇴임 이후 연구를 더 할 수 있는 SNU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