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비
비론
유비추리
추리
추론
짐작
뉴스
"
유추
"(으)로 총 193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즈니가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프베스는 영화 상영과 동시에 적외선 카메라로 관람객의 표정을 평가해 감정 상태를
유추
한다. 실제로 디즈니는 ‘빅 히어로’ ‘정글북’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같은 영화를 상영하며 관객 3179명의 표정을 분석했다. 프베스는 초반 몇 분의 분석만으로도 관람객들이 전체적 영화 평을 ... ...
망가진 아이폰 666개를 모은 예술가
팝뉴스
l
2017.08.01
납작한 유리상자에 담아서 전시했다. 관객은 이를 보고 실제로 작품이 제작된 방식을
유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666개일까? 666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그 숫자 아니었던가? 그녀의 설명에 따르면, 6이라는 숫자는 인간 모두에게 내재한 불완전성을 상징한다. 아이폰도 우리 인생도 ...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7.07.28
일부임을 밝혔다. 런디가 가까운 거리에서 부인의 머리를 내리쳤다는 구체적 행동을
유추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결과 런디는 15년 만인 2015년 결국 실형을 선고받았다. 이 교수는 “RNA보다는 DNA가 적은 양의 시료로도 분석 가능해 수사현장에 적용하기 유리하다”며 “최근 과학수사에서 ... ...
[백개사전 10] 어떤 개를 키울지 고민이라고요? 일단 ‘푸들’을 추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8
새끼 때는 주먹만합니다. 부모 푸들의 크기를 보면 새끼가 다 자랐을 때 크기도
유추
가 가능하므로 부모견을 보고 크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털 색도 선택지가 많습니다. 전통적으로 흰 개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특성상 흰 푸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다양한 털 색을 가진 푸들이 많이 ... ...
[백개사전 09] 명령받는 것을 좋아하는 영리한 개, ‘보더 콜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6.24
쓰였던 개였습니다. 이쯤 되면 보더 콜리가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자연스럽게
유추
가 되겠지요? 사람 명령을 익히는 것을 좋아하고, 가축을 몰면서 뛰어다니는 개였던 만큼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활달한 성격입니다. 여기에 더해 다른 동물을 자신의 뜻대로 몰아가는 것도 좋아합니다. 보더 콜리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그래픽 디자이너 스티브 그라이스의 도움을 받아 적색왜성계에 사는 생물의 모습을
유추
한 바 있다. 중심별의 빛이 약한 만큼 빛을 최대로 흡수하기 위해 피부가 투명하게 진화했으리라 추정했다. 고생물학자 브라이언 추 박사가 적생왜성계의 생물 모습을 상상해 그렸다. - Steve Grice 제공 ... ...
[백개사전 03] 개밥남 천재견 ‘뚜이’? 사람을 좋아하고 잘 따르는 시베리안 허스키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개 시베리안 허스키가 어떻게 유래된 개인지 알게 됐다면 이 개의 성격을 충분히
유추
할 수 있습니다. 무거운 짐을 끄는 개였던 만큼 체력과 지구력이 좋습니다. 당연히 움직이는 것도 좋아하지요. 이 때문에 시베리안 허스키를 키울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운동 욕구를 채워주는 겁니다. 하루에 ... ...
[카드뉴스] 뭐라 설명할 수 있는 오글거림
동아사이언스
l
2017.04.20
대화를 할 때 앉아있는 자세, 놀라거나 흥분했을 때의 호흡 등으로 어렵지 않게 감정을
유추
할 수 있습니다. 19세기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와 칼 랑게의 정서 이론에서는 감정에 따라 신체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극에 대한 신체 반응을 해석한 것이 감정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등산을 ... ...
징그러울 정도로 거대한 환형동물...신기한 생태의 거대배좀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불린다. 우리나라 연안에서도 수심 50m 전후에서 살고 있다. ‘좀벌레’라는 이름에서
유추
할수 있듯 주변의 물체를 파먹는 생물이다. 바닷가의 나무를 특히 좋아해 나무로 만든 배를 망가뜨린다고 해서 배좀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연구진이 연구한 거대배좀벌레도 이의 일종이다. 다만 크기가 ... ...
파키스탄 ‘근친혼’ 자손이 알려준 인간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13
이 방법을 쓸 수 없어 이제껏 유전자 연구는 초파리나 쥐와 같은 동물실험 결과로 미뤄
유추
할 뿐이었다. 사람은 부모로부터 1쌍의 유전자를 물려받기 때문에 같은 유전자를 2개씩 갖고 있다. 이렇다 보니 유전자 중 하나에 돌연변이가 생겨도 다른 유전자가 보완해 기능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