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품
유풍
잔존물
유적
유산
자취
기념품
뉴스
"
유물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슬람 과학기술역사박물관에 가다
2015.11.01
및 시계의 발전 아스트롤라베(Astrolabe)는 이슬람 천문학이 남긴 최고의 과학
유물
로 지름 15cm인 두꺼운 원반 모양의 휴대용 천문관측기구다. 유목 생활을 하는 이슬람 문명에서 언제 어디서나 천체관측을 통해 시간과 방향을 알기 위해 제작한 도구였다. 이후 아스트롤라베는 아시아와 유럽으로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이다. 게와 가재를 닮아 이런 이름이 붙었다. 2016년 개발 완료 예정인데, 이번에는 해저
유물
발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4월 16일부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공동으로 실험을 시작했다. 이 곳에 머문 지 13일 만인 이 날 오후, 1년 전 실험을 위해 미리 빠뜨려둔 샘플 도자기를 처음으로 건져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고려시대의 두꺼비모양 청자벼루가 보물로 지정됐다. 2010년 발굴된 마도 2호선에서 나온
유물
259점 중 청자 매병(梅甁) 두 개가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마도 해역에서 발견된 첫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 4호선’을 다음 달 7일부터 본격 발굴할 예정이다. 4호선 선체 안팎에서 나온 분청사기와 ... ...
첨단 로봇 동원 조선시대 선박 수중 발굴
동아일보
l
2015.04.23
시작한다. 이번에 투입될 ‘크랩스터(Crabster) CR200’(사진) 해저로봇은 해저에서
유물
을 건져 올리거나, 초음파 카메라와 수중 음파탐지기로 탐사를 벌일 수 있다. 가로, 세로 각 2.4m에 높이가 1.3m 정도인 이 로봇은 무게가 650kg가량 된다. 물건을 집어들 수 있는 집게발 2개를 포함해 총 6개의 발로 ... ...
‘디지털 지팡이’부터 ‘바이오스탬프’까지
2015.02.27
감각과 동일한 느낌을 재현하는 ‘가상촉감기술’을 사용하면 박물관에 가지 않고도
유물
을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어 문화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로 학습자의 인지 수준과 정서 상태를 분석해 학습 능력과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스마트러닝’은 교육 격차를 ... ...
티베트인은 중국인과 같은 민족일까
2015.02.15
고고학과 교수는 “티베트 고원 서쪽에서 발견된 석기들이 2만5000~2만 년 전 네팔
유물
과 비슷한 형태”라며 “히말라야 남쪽에서부터 티베트 고원까지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유전적인 근거도 나왔다. 왕 준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소장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 ...
미라 100만 구 묻힌 거대 묘지 발견
과학동아
l
2015.01.21
빽빽이 차 있는 37만 평 규모의 공동묘지를 찾았다”고 12월 캐나다에서 열린 이집트
유물
연구회 학술대회에서 밝혔다. 건조한 환경 덕에 시신들은 대부분 미라 상태로 발견됐다. 그중에는 18개월 된 여아와 키가 213cm나 되는 남성도 있었다. 시신들은 로마와 비잔틴제국이 점령했던 1~7세기에 ... ...
‘비정상회담’ 알 차장이 밝힌 이탈리아 미스터리는?
2014.12.07
개최한다. 물론 이번 기획전에서는 진짜 외치가 아닌 외치의 복제품과 관련
유물
이 전시된다고 한다. 하지만 외치가 어떤 일을 했고, 무엇을 먹고 살았으며, 왜 죽었는지 추측할 수 있는 전시해설과 체험활동이 준비 돼 있다고 하니 외치가 궁금한 사람들은 직접 한번 가보자 ... ...
첨단 정보기술 - 총체적 협업 시스템 활용해 차근차근
동아일보
l
2014.11.26
거느린 국립연구위원회(CNR) 소속으로 다른 산하 연구소와 실험장비와 인력을 공유한다.
유물
의 연대 측정에 필요한 ‘방사성 동위원소’ 분석의 경우 물리학 연구소의 장비를 함께 사용한다. ICVBC 입주 건물에만 12개의 기초과학 연구소가 함께 있다. 최근 ICVBC의 문화재 관리 화두는 정보기술(IT)이다.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1.21
납도 소량 포함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의
유물
에 포함된 납은 서로 동위원소가 달라서
유물
에 포함된 납 동위원소의 종류를 확인하면 문화 전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정연중 환경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크게 네 지역에서 동위원소가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납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