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도움
후원
협조
지지
조력
제휴
뉴스
"
원조
"(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파지요법 연구를 계속했고 오늘날 세계 최고의 파지요법 연구소가 됐다.
원조
인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를 제치고 엘리아바연구소가 파지요법을 대표하게 된 건 1940년대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서구에서 파지요법이 잊혔기 때문이다. 반면 냉전체제로 항생제요법에서 소외된 동구권은 파지요법을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마사이족 학교에 들렀다. 아이들이 좁은 교실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있었고, 앞마당엔
원조
기구가 파 줬다는 우물이 있었다. 하루에 백 리쯤은 우습게 걷는 아이들을 보며 교사가 한마디 했다. 평원에서 소떼를 몰아야 하는데 쓸데없이 셈이나 가르친다고 부모들이 애들을 학교에 안 보내더니, 수업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대한 가설을 늘어놓는다. 1981년 처음 출간됐지만 현대에 들어 더 흥미롭게 들리는 ‘
원조
’ DNA 전문가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자. 반니 제공 ■ 공기의 연금술 (토마스 헤이거 著, 반니 刊) 질소는 대기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매우 친숙한 원소다. 이러한 질소가 인류의 역사에 미친 영향은 ... ...
한국 ‘신종 감염병 대응 노하우’ 개도국에 전수
동아일보
l
2015.09.04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GHSA) 고위급 회의’에서 한국 정부의 보건의료 관련 공적개발
원조
(ODA) 전략이 공개된다. 3일 보건복지부와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7∼9일 서울에서 열리는 GHSA 회의 기간에 △예방접종 대책 △진단·실험 시스템 구축 △보건의료 인력 역량강화 등 3개 분야에 초점을 맞춰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기자는 ‘쿡방’의 인기 비결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7월 13일 국내 요리 방송의
원조
인 이욱정 PD를 찾아갔다. 그는 시원한 냉커피를 건네며 기자를 반갑게 맞았다. 국내 유일한 셰프 PD가 만든 냉커피의 맛은 과연?! 비결을 묻자 그는 웃으며 대답했다. “몸에 안 좋은 연유를 좀 넣었어요.”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외골격 로봇은 50년 전인 1965년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가 개발한 ‘하디맨(Hardiman)’이
원조
인데 아직까지도 상용화되지는 못했다. 무엇보다도 착용한 사람의 의도에 따라 바로 움직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착오가 생겨 외골격 로봇이 멋대로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이집트 문서에 따르면 이집트 파라오인 람세스 5세는 천연두로 사망했다. 전염병의 ‘
원조
’ 격이라고 할 수 있는 천연두는 이집트에서 인도, 중국을 거친 뒤 전 세계로 퍼지며 3000년 이상 인류를 괴롭혔다. 천연두 바이러스의 전염력이 워낙 강해 1519년 아메리카 대륙을 침략한 스페인 군대는 ... ...
[미래를 듣는다 7] “‘울산의 눈물’ 막을 길은 과학기술 혁신과 도전”
2015.04.27
박성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은 제3회 과총 국가발전포럼에서 “과학과 기술에 기반한 혁신과 도전이 재도약의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 역할일 것입니다. 과학자가 외국에 나가 국제협력을 맺거나 과학기술 공적개발
원조
(ODA) 사업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
움직이는 ‘로봇 재료’가 온다
2015.04.03
의미에서 ‘로봇 재료’라고 부른다. ● 온도 따라 모양, 색 변해 로봇 재료의
원조
는 ‘스마트 재료’다. 스마트 재료는 주위 환경에 따라 재료의 형태나 색깔 등 특성이 바뀌는 소재를 말한다. 구부러지거나 휘어져도 특정한 온도가 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이나 온도가 ... ...
화이트데이 맞이 달콤한 당류 9종 집중 분석
2015.03.13
홍수에 휩쓸려 1년 중 최고 당분 섭취량을 기록하기 딱 좋은 날이다. 달콤한 맛의
원조
는 ‘자당(蔗糖)’으로 불리는 설탕이다. 인류가 설탕을 먹기 시작한 건 350년경이다. 16세기에는 더 많은 설탕을 확보하기 위해 ‘설탕 전쟁’이 벌어졌고, 설탕의 원료가 되는 사탕수수를 대량으로 재배하기 위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