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9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면 진동을 전류로 변환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17
위해 지면에는 지오폰 여러 대를 꽂아 두었습니다. 지오폰은 디지털 지진계와 같은
원리
를 사용해서 지면의 움직임을 전기 신호로 기록하는 장비입니다. 지진계를 설치하기 힘든 야외에서 지면의 진동을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피들러 게 수컷은 먼저 집게발을 위아래로 흔들어 암컷의 주의를 ... ...
고분자로 11자리 비밀번호 구현·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5.17
측정된다. 측정된 전기 신호 순서에 따라 단위체가 어떤 순서로 결합됐는지 확인하는
원리
다. 연구팀은 11자리 비밀번호 'Dh&@dR%P0W¢'를 나타내는 고분자 사슬을 합성하고 다시 분해하면서 정확히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해독 과정은 프로그래밍을 통해 자동화됐다. 전기 신호로 해독하기 때문에 ... ...
삼성 피폭사고 후속점검…14곳서 원안법 위반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훼손됐다는 점이 주요 위반사항이다. 가방 내부를 탐지하는 공항 수하물검색대와 동일한
원리
다. 김기환 원안위 방사선안전과장은 "생산한 제품의 무게가 가볍다 보니 납 커튼에 걸려 통과하기 어려워서 그랬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설계를 바꾸려면 신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장비는 ... ...
[과기원NOW] DGIST, 뇌 신호에 브레이크 거는 단백질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15
조절하는 핵심 수용체인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작동을 조율하는 새로운 분자 작동
원리
를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특정 신경회로의 흥분성 시냅스 기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관련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 ...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위고비'보다 강력…연구 추세·시장 흔들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5.13
위고비의 효과를 뛰어넘는 이중, 삼중 작용제들이 출시를 앞두면서 이들 약물의 작용
원리
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다국적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마운자로가 체중 감소 효과 측면에서 위고비를 뛰어넘는 결과를 확인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자폐·강박 반복행동, '뇌 염증'과 연관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만성 뇌 염증이 반복행동장애를 유발하는 원인과 분자 작동
원리
를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선 뇌 속 면역세포의 염증 반응이 특정 수용체의 과활성을 유도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ASD)나 강박장애(OCD) 환자에게 나타나는 의미 없는 반복행동이 유발될 수 있음을 ... ...
계단 오를 때 혈압 정밀 감지…스마트워치 적용 가능 광혈압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개발했다. 파장이 다른 50가지의 빛 신호를 동시에 측정해 안정적으로 혈압을 추정하는
원리
다. 기존 스마트워치의 PPG 센서는 3가지 파장의 빛을 인식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초분광 PPG 센서는 계단 오르기 등 운동 중에도 혈압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지했다. 운동 중의 혈압 변화를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별의별 과학특강'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07
국내 최초 레고 그룹 공식 인증 작가인 김성완씨를 초청해 브릭아트 속 과학
원리
를 주제로 '별의별 과학특강'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참여를 원할 경우 중앙과학관 홈페이지에서 선착순 예약할 수 있으며 잔여석에 한해 당일 현장 신청도 받는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와 산하 23개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하학적 갈등'이 낳은 장미꽃잎의 아름다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5.04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를 이끈 샤론 교수는 “자연에서 발견한
원리
를 인공 구조물이나 건축 설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연의 복잡한 형태는 물리적 제약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science.org/doi/abs/10.1126/science.adt0672#supplementary ... ...
[과기원NOW] 포스텍, 뇌의 심혈관 조절
원리
재현한 '디지털 트윈'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02
박성민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뇌의 심혈관 조절
원리
를 재현한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고혈압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뇌 부위인 고립로핵(NTS)에 주목했다. NTS에선 몸 곳곳에서 전달되는 다양한 신경신호가 몇 가지 핵심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