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와이어"(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풍으로 가는 ‘우주 돛단배’ 어디까지 왔나2016.05.06
- 브루스 와이먼 NASA 마셜우주비행센터 수석연구원은 “길이 20㎞, 굵기 1㎜인 가늘고 긴 와이어 20개만으로 원형 돛을 만들 것”이라며 “현재 이 돛이 얼마나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지 시험 중”이라고 밝혔다. ... ...
-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과학동아 l2016.04.30
- 16~20AU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솔라 세일은 얇은 천이 필요한 반면, E-sail은 와이어만 뻗으면 돼 단면적을 넓히기가 수월하다. 연구팀은 E-Sail의 효율적인 단면적을 계산했는데, 1AU를 가는 경우 서울 면적보다 작은 600km2, 5AU를 갈 때는 LA와 비슷한 1200km2 였다. 속도도 훨씬 빠를 전망이다. ... ...
- 차세대 스마트폰용 ‘휘어지는 화면’ 만들었다2016.04.27
- 커 구부릴 때 깨지는 일이 잦았다. 이런 문제로 그래핀이나 메탈 메쉬(Metal mesh), 나노와이어 등 다양한 소재가 연구되고 있다. 연구진은 최근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에 구리-니켈 합금 메탈 촉매를 적용해 합성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합성 그래핀의 특성을 시험한 결과 기존 인듐 ... ...
-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과학동아 l2016.04.23
- 은나노와이어를 코팅한 뒤 이것을 유리판 양면에 붙였다. 여기에 전기를 흘려주자 은나노와이어가 움직이면서 고무표면을 변형시켰다. 변형된 고무는 빛의 투과를 방해해 유리판을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얼음 표면이 매끄러우면 내부가 들여다보이지만, 심하게 굴곡진 경우 안이 잘 보이지 않게 ... ...
- 지름 2㎜ 물방울이 0.2㎜ 굵기 거미줄에 초속 1㎝로 부딪힌다면?2016.04.13
- 거미줄에 물방울이 맺히는 조건이 궁금해서 시작한 연구였다”면서도 “전선이나 와이어를 코팅할 때 어떤 속도로 코팅액을 뿌려야 하는지 등을 판단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유체역학 관련 학술지인 ‘피직스 오브 플루이드’ 12일자에 실렸다. ... ...
- 손 마비 환자, 이 장갑 끼니 통조림도 따네2016.02.16
- 1㎏이 넘는 추를 들어올릴 수 있고, 문고리를 돌려 문을 열 수도 있다.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폴리머로만 이뤄졌기 때문에 물에 닿거나 물 속에 넣어도 망가지지 않는다. 조 교수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신체가 불편한 환자들이 동력으로 움직이는 의족이나 의수를 잘 착용하지 않는 ... ...
- ‘천연가스’ 이용해 나노와이어 저렴하게 대량생산한다2016.01.28
-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기술로 만든 게르마늄 나노와이어를 리튬이온전지에 적용한 결과, 기존 흑연 소재보다 용량이 크고, 고속 충·방전을 1000회 이상 반복하더라도 용량을 99%이상 유지하는 등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이 기술이 전기자동차나 ... ...
-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2015.12.08
- 않으면서 투명하고 표면도 매끄러워 저항도 줄어들었다. 고 교수는 “정렬된 은 나노와이어로 만든 투명전극은 고성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물론 고효율 유기태양전지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레터스’ 11월 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 미래의 아이언맨 ‘철갑’ 벗고 ‘섬유’ 입는다2015.11.06
- 가지 부품만 제외하면 대부분 섬유로 만들어졌다. 섬유 내부에 들어 있는 초소형 모터와 와이어를 이용해 근육을 감싸고 있는 구조체를 잡아당겨 힘을 키우는 방식이다. 하버드 엑소슈트를 입으면 힘이 최대 20%까지 증가한다. 한국인 과학자로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이상준 연구원은 ... ...
- 와우! 이것이 진정한 ‘이모션 글러브(eMotion glove)’ 2015.11.03
- 따라 전기 저항이 변한다. 장갑 내 모든 센서와 장치는 전도성이 있는 특수한 실인 리츠 와이어(Litz Wire)를 이용한 덕분에 장갑을 끼고 있는 내내 이물감이 느껴지는 일이 없었다. 김 교수는 “장갑을 끼고 손 모양을 조합하는 방식이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다양한 명령을 동시에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