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마트전자"(으)로 총 1,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ETRI, 로봇 두 대 동시 무선충선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4.19
- ETRI 연구진이 듀얼사이드 무선충전 시스템의 로봇 충전을 시연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로봇 두 대를 동시에 무선충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선충전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고 가격을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하나의 송신기로 하나의 수신기를 충전 ... ...
- 1kg에 200원 황 폐기물, 적외선 투과 렌즈 소재로 거듭났다동아사이언스 l2023.04.12
- 황 폐기물을 활용해 높은 강성의 적외선 투과 역가황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는 과정 모식도.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유 정제과정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부산물인 값싼 황 폐기물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적외선 투과 고분자 렌즈 신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김동균 한국화학연 ... ...
- 인공지능 기술로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진단동아사이언스 l2023.04.06
- 윗줄 왼쪽부터 서동화 교수, 최윤석 교수, 김동혁 교수. 아랫줄 왼쪽부터 제1저자 이현준 연구원, 제1저자 박서정 연구원. UNIST 제공 전기차, 스마트폰, 노트북, 드론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인공지능(AI)을 구현하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 ... ...
- 드론 수백대 충돌 없이 동시 운용...ETRI 기술, 국제표준 제정동아사이언스 l2023.04.04
- ETRI 연구진이 무인기 통신 네트워크 표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드론 제조사마다 공통된 통신규격이 없어 드론 간 정보교환이 되지 않던 어려움을 해결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달 2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의에서 ‘무인기 통신 ... ...
- 한국인 수면시간 15년간 35분 늘어..."취침 2시간전 밝은빛 피해야"동아사이언스 l2023.03.17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건강한 수면습관은 뇌건강과 심혈관계 건강에 중요하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최근 15년간 매년 조금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수면의 양 못지않게 중요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취침 2시간 전부터 밝은 빛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대한수면연구학 ... ...
- 수면 전 켜두는 희미한 조명, 임신부 당뇨병 위험 높여동아사이언스 l2023.03.12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면 직전 더 많은 빛에 노출되는 임신부는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당뇨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선 자기 전에 수면용 조명을 키거나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을 멀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민지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원 연구팀은 수 ... ...
- [인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23.03.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급 △초성능컴퓨팅연구본부장 김강호 △지능형반도체연구본부장 구본태 △사이버보안연구본부장 김정녀△양자기술연구본부장 주정진 △지능정보연구본부장 김영길 △창의원천연구본부장 이일민 △위성통신연구본부장 이문식 △광무선연구본부장 권용환 △미 ... ...
- [프리미엄 리포트] AI·자율주행·암호화폐...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과학동아 l2023.03.04
- 과학동아 DB 차도를 지나는 경유차가 내뿜는 잿빛 배기가스, 강 건너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나오는 흰 연기, 초원에서 풀을 뜯던 소들이 내뱉는 메탄 섞인 트름.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을 생각할 때 떠올리는 이미지들이다. 과연 온실가스는 여기에서만 배출될까. 최근 디지털 ... ...
- 모터 등 회전기기 결함 탐지하는 AI…"스마트팩토리에 활용"동아사이언스 l2023.02.22
- 산업현장에 쓰이는 전기모터.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현장에서 기기에 결함이 생기면 비용손실뿐 아니라 인명피해까지 낳을 수 있다.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모터, 펌프, 엔진 등 회전기기의 결함을 스스로 탐지하고 추적하는 인공지능(AI)이 개발돼 스마트팩토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동아사이언스 l2023.02.22
-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왼쪽)가 학생들과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있다. KAIST 제공 집속 이온 빔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분의 1만큼 작은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스마트워치 등 차세대 전자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